시비관리 3-2. 양액조성표에 따라 양액 제조
1. 양액조제 방법 1. 양액 조제에 사용되는 비료 2. 양액조제 과정 양액의 조제방법을 장미 암면 재배 시 양액조성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양액의 농도는 다량원소는 me/L로, 미량원소는 ppm을 사용한다. (2) 성분조성을 기준으로 먼저 K, Ca, Mg, P의 확보에 필요한 각 비료량을 계산한다. (3) 비료의 필요량에 들어 있는 NO3-N와 NH4-N량을 계산하고, 질소의 첨가량을 산출한다[NH4NO3, (NH4)2SO4 등]. (4) 미량원소는 20,000배의 농축액을 별도로 만들어두고, 100배 또는 200배액을 만들 때 사용한다. (5) 원수중의 Ca, Mg 등은 ppm을 me/L단위로 환산하여 그것을 목표농도(me/L)에서 빼서 수정 목표농도를 구하고, 필요한 비료량을 ..
2021. 11. 13.
배양토만들기 2-1. 배양토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및경제적 특성 파악
1. 배양토 개념, 배양토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1. 배양토 개념 (1) 배양토 각종 토양을 알맞게 혼합하여 식물의 생육 조건에 맞도록 만든 토양 (2) 배양토가 갖추어야 할 조건 (가) 보수력과 보비력이 좋아야 한다. (나) 배수와 통기성이 좋아야 한다. (다) 토양산도(pH)가 작물에 적당해야 한다. (라) 병충해나 잡초 종자가 없어야 한다. (마) 무게가 적당해야 한다. 2. 배양토 재료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배양토 재료는 재료의 배수성, 보수성, 토양산도(pH) 등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해야 용도에 맞게, 작물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2. 배양토 재료별 가격 동향 배양토 재료들은 종류에 따라 가격, 무게, 물리적이 특징 등이 서로 다르다. 배양토가 작물을 재배하는데 적합한 물리적, 화학..
2021. 10. 30.
화훼토양관리 1-2. 경운, 이랑짓기, 멀칭, 배수
1. 표토관리 방법 표토관리 방법은 청경법, 멀칭법, 초생법 등이 있으며, 표토의 관리법에 따라 심토의 물리·화학성이 변하고 양분이 유지되는 양이 달라지고 심토의 영양 상태에 영향을 준다. 1. 청경재배 중경과 제초제로 잡초를 모두 제거하면서 포장을 관리하는 방법이다. (1) 제초제의 종류와 사용법 (가) 접촉형 제초제– 1년생 잡초가 문제가 될 때 살포 (나) 이행형 제초제– 잡초를 뿌리까지 죽이는 동시에 살충효과도 서서히 나타남 바랭이, 둑새풀, 냉이, 쇠비름 등은 저농도로 살포 쑥, 여뀌, 메꽃 등 여러해살이 광엽잡초는 고농도(400~600mL/10a)로 살포 (다) 토양처리 제초제 – 잡초발아전 토양처리 제초제의 이용은 아직 일반화되지 않고 있음 (2) 청경재배의 장점과 단점 2. 멀칭재배(피복재..
2021. 10. 24.
작업계획수립 5-1. 작부체계 수립
1. 묘생산기 1. 파종 주로 일년초 종자를 이용한 묘생산에 이용하며 플러그판이나 묘판에 종자를 파종하여 묘종을 생산한다. 페튜니아, 팬지, 프리뮬러 등 일년초에서 많이 이용한다. 종자파종은 번식방법이 쉽고 다수의 묘를 동시에 생산할 수 있다. 2. 삽목 국화, 장미 등 화훼작물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번식방법으로 식물체의 일부인 줄기, 잎, 뿌리 등을 절단하여 삽목하면 하나의 완전한 독립된 식물체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방법이다. 엽삽, 엽아삽, 경삽, 근삽 등이 있다. 3. 접목 접목은 실생, 삽목, 취목으로 번식이 어렵거나 개화 및 결실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반드시 대목과 접수가 친화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서로 간에 그 형성층을 유착시켜야 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깍기접,..
2021.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