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60

잔디관리 7-1. 관상용 잔디종류 선택 1. 관상용 잔디는 정원, 공원, 생태 하천 및 골프장 등에서 경관 조성 시 일반 관목처럼 관상 용 식물로 활용되는 잔디이다. 일반 잔디는 전체 잔디밭 집단으로 밀도, 균일성 및 평탄성 이 중요하지만, 관상용 잔디는 하나하나 개체의 특성, 형태, 크기 및 종합적 입체감이 훨 씬 더 중요하다. 2. 관상용 잔디의 일반 특성 1. 관상용 잔디의 생활형은 대부분이 다년생이다. 2. 관상용 잔디는 벼과 식물을 포함해서 사초과, 등심초과, 부들과 등에 속하는 식물이 많다. 3. 관상용 잔디는 꽃이 피고 종자가 맺히는 현화식물이며, 종자가 속에 감추어져 있는 속 씨식물이다. 4. 관상용 잔디는 종자가 발아하여 유묘기에 자엽이 한 개 나타나는 단자엽식물이다. 5. 관상용 잔디의 엽 조직 특성은 엽폭은 좁고, 엽맥의 .. 2021. 3. 12.
잔디관리 6-3. 잔디 제초제 조사 및 안전 사용 1. 잔디밭 잡초 방제 시 제초제를 이용하는 화학적 방제를 할 경우에는 반드시 농약관리법에 따라 농약 사용 지침서에 잔디용으로 등록된 제초제를 적절하게 선택해서 활용할 수 있어 야 한다. 이때 제초제의 살초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제초제 제형에 대한 올바 른 이해와 유효 성분에 대응한 적정한 사용법을 선택한다. 2. 제초제의 제형 1. 제초제의 유효 성분은 극히 미량으로도 식물에 활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대면적에 안전 하고 균일하게 살포하기 위해서는 유효 성분을 증량제에 잘 희석하여 살포할 필요가 있다. 제초제의 제형에는 유효 성분을 희석하는 매체 물질로서 액체 또는 고체가 사용 되며, 대부분이 외관상 액상 또는 고상이다. ▶ 제초제 구성: 유효 성분 + 증량제(희석제, 보조제) 2. 제초제는 실.. 2021. 3. 12.
잔디관리 6-2. 제초제 기작과 효율적 이용 1. 제초제는 인간이 원하지 않는 식물인 잡초를 대상으로 처리하여 잡초의 발아나 생육을 억 제 및 고사시키는 화학물질이다. 제초제의 살초 기능은 식물체 내에서 세포 분열 및 단백 질 합성 등의 대사작용을 방해하여 잡초의 생리작용을 비정상적으로 유도한다. 2. 제초제의 작용 특성 제초제는 식물생장 및 발육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는데 작용 특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1. 작용 기작: 제초제는 식물의 대사 및 생리작용에 나타나는 작용 기작에 따라 세포 분열 저해제, 단백질 합성 저해제 및 광합성 저해제가 있다. 2. 작용 효과: 제초제는 살초 작용에 따라서 호르몬형 제초제 및 비호르몬형 제초제가 있다. 3. 대상 식물: 제초제 살포 시 독성 발현이 특정 식물에만 나타나는 선택성 제초제와 여러 식물에 발현.. 2021. 3. 12.
잔디관리 6-1. 잔디밭 주요 잡초 및 방제방법 1. 잔디밭 잡초의 특성 잡초란 원하지 않는 식물을 의미하며 잔디생장 시 영양분 및 수분의 경합, 병해충의 매개 및 유해한 물질 분비 등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잔디밭은 식생이 균일한 초종으로 조성되기 때문에 시각적 관점에서 잡초는 미적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고, 스포츠 잔디밭에서 는 경기기능 훼손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2. 잡초의 종류 잡초는 생육습성, 형태 및 환경 적응성 등이 다양하므로 식물학적 분류, 형태적 특성 및 생활 형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식물학적 방법에 따라 잡초의 분류 시 약 60개 과에 200여 종이 있으며, 이 중 화본과 및 국화과가 76종으로 약 40% 정도 차지하고 있다. 2. 생활형으로 분류 시 일년생 잡초, 월년생 잡초, 이년생 잡.. 2021. 3. 12.
잔디관리 5-3. 잔디 살균(충)제 조사 및 안전 사용 1. 병해충 방제 시 살균제 및 살충제를 사용하는 화학적 방제는 종합적 방제 전략의 하나로 사용한다. 효과적인 화학적 방제를 위해서는 농약의 특성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1. 병해충 방제에 사용되고 있는 농약의 제형은 고형인 입제형과 액상인 스프레이형이 있다. 액상 스프레이형은 수화제, 액상 수화제, 수용제 및 유제로 구분된다. 2. 농약의 제형은 유효 순성분 함량의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변경될 수도 있으므로 제 형 변경 시 살포율도 달라질 수 있다. 3. 지상부 잔디 엽 조직에 살포 시 스프레이형은 효과적인 살포가 가능하지만 입제형은 표 면 도포가 쉽지 않다. 4. 일반적으로 입제형은 대취층 및 토양 중 병원균 활성 또는 포자의 형성을 억제하거나 토양 서식 해충의 방제에 효과적이다. 2. 살.. 2021. 3. 12.
잔디관리 5-2. 주요 병충해 파악 1. 잔디밭 주요 병해 잔디에 발생하는 전염성 병해는 약 70여 종에 달하며 이와 관련된 병원균은 100여 종에 이른다. 잔디 병해의 대부분은 사상균에 의한 곰팡이병에 속한다. 국내 잔디밭에 발생하는 중요 병해는 약 20여 종이 있고, 한지형 계통 및 난지형 계통의 잔디에 따라 발생하는 병 원균에 차이가 있다[그림 5-2], 2. 잔디밭 주요 해충 1. 잔디밭 해충 종류 잔디밭에 발생하는 해충은 가해 습성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굼벵이 등 잔디 지표면 아래를 가해하는 토양서식 해충과 멸강나방 등 지상부 조직을 가해하 는 지상부 서식 해충이 있다. 2. 잔디밭 해충의 특성 (1) 토양 서식 해충은 지표면 아래에서 왕성하게 생장 및 서식하면서 잔디 조직의 생장 점 아랫부분을 가해하기 때문에.. 2021. 3. 7.
잔디관리 5-1. 경종적 관리와 병충해 발생 예방 1. 잔디밭에서 병해충 발생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발병의 3요소인 병원균, 기주 및 환경이다 [그림 5-1]. 2. 잔디병의 발생 1. 잔디밭에서 발생하는 병은 병원균의 생활사와 기주인 잔디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으 면서 연속적으로 감염이 일어난다. 효율적인 병 방제를 위해서는 관심 대상이 되는 병 의 병환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 병환 : 전염 → 침입과 감염 → 잠복과 병징 → 전파 → 전염 2. 잔디밭에 발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의 전염 경로에 따라 크게 토양 전염성 병균과 공기 전염성 병균으로 구분된다. 3. 잔디밭에서 병원체는 자연 개구부, 각피, 상처를 통해 침입해서 감염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병증이 나타난다. 4. 발병하기 위해서는 병증이 발현되기 훨씬 이전에 병원균 전파가 이루.. 2021. 3. 7.
잔디관리 4-2. 갱신작업 시기 및 사후관리 1. 배토작업의 목적 배토작업은 잔디밭에 토양을 얕게 공급해주는 작업으로 코어링 및 버티컷팅 갱신작업 후 에는 반드시 실시해야 하는 작업이다. 특히 골프장 관리 시 배토작업은 일상적으로 자주 사용하는 관리방법으로 배토 작업의 주된 목적은 잔디 조성 시 발아 및 생육 촉진, 평탄 성 개선 및 대취층 조절 등이 있다. 2. 배토작업의 효과 1. 잔디 조성 종자 파종 시 배토작업은 종자를 피복해서 식재층 토양의 보습력을 향상시켜 발아 촉진을 유도한다. 또한 들잔디의 영양번식 시 포복경과 지하경을 피복함으로써 토양의 보습력을 향상시켜 생육이 촉진될 수 있다. 2. 스포츠 잔디 경기장에서의 배토작업은 잔디밭 표면을 고르게 유지함으로써 평탄성을 향상시키고, 골프장 퍼팅그린에서 배토를 자주 하게 되면 퍼팅그린 스피드.. 2021. 3. 7.
잔디관리 4-1. 갱신작업 컨셉트 및 장비 이용 1. 잔디밭 갱신작업 잔디 초종, 식재층 지반 및 관리 요소에 문제가 있어 잔디 상태가 불량하여 품질이 떨어진 잔디밭은 반드시 개선해야 한다. 이와 같이 잔디밭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실시하는 작업을 갱신작업이라고 한다. 1. 갱신작업의 중요성 잔디밭은 조성 후 사용에 따라 사람 또는 장비 때문에 점점 더 답압이 가해지면서 토양 삼상 중 기상 부분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토양환경 변화는 잔디의 호흡작용 및 토양 미생물 활동에 영향을 주어 결국 잔디생육 저하로 이어져 잔디밭 품질이 불량해질 수 있 다. 따라서 갱신작업을 통해 식재층 지반의 투수성, 보수성, 통기성 등 토양의 물리적 특 성을 개선해 잔디밭 품질을 향상해야 한다. 2. 갱신작업의 유형 갱신작업은 잔디 상태에 따라 잔디밭을 전면 교체하는 방법.. 2021. 3. 7.
잔디관리 3-2. 비료 확보 및 시비방법 결정 1. 비료는 식물에 영향을 주거나 식물의 재배를 돕기 위하여 토양에서 화학적인 변화를 일으 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물질이다. 비료는 편의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하는데 실무적 으로 숙지하고 있어야 할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비료형태: 잔디밭에 사용되는 비료의 형태에 따라 직경 1mm 이상의 고체 비료인 입상 알 비 료, 미세한 분말 형태인 분상 비료, 수용액 및 현탁액 등 액체 형태의 액상 비료로 구분한다. 2. 주성분: 비료의 주성분에 따라 질소질 비료, 인산질 비료 및 칼륨질 비료로 분류한다. 또 한 석회(Ca), 고토(Mg) 및 규산(Si) 중 한 가지 성분을 주성분으로 한 비료를 특수성분 비 료라고 하며 Fe, Mg, B 등 미량원소를 함유한 비료를 미량요소 비료라고 구분한다. 3. 부성분:.. 2021. 3. 7.
잔디관리 3-1. 기본 잔디시비계획 컨셉트 작성 1. 잔디생육과 필수영양원소 잔디 식물체 구성 성분 중 80% 이상이 수분이며, 나머지 20% 이내의 물질은 주로 유기화합 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기 화합물은 17종의 필수원소로 구성되어 있다. 1. 필수원소의 종류 식물생육에 요구되는 필수원소는 전체 17종류로 다량이 필요한 다량원소 9가지와 상대적 으로 소량이 필요한 8가지 미량원소가 있다. 2. 필수원소의 농도 식물생육에 많이 요구되는 다량원소 9종류는 식물체 건물 중 기준으로 0.1~45% 정도 존재 하며, 이 중 자급자족 원소인 C, H, O를 제외한 N, P, K, S, Ca, Mg 6종류는 0.1~1.5% 정 도 존재한다. 8종류의 미량원소는 식물체 건물 중의 0.01% 이하로 존재한다. 2. 필수 영양원소의 역할 필수 영양원소 17가지는.. 2021. 3. 7.
잔디관리 2-2. 예초장비 선택 1. 예초장비 잔디밭 관리 시 기본 관리 프로그램인 관수(irrigation, I), 예초(mowing, M) 및 시비 (fertilization, F) 등 IMF 잔디 관리 프로그램에서 인력과 시간이 가장 많이 소요되는 부분 이 바로 예초 작업이다. 또한, 잔디밭의 시각적 및 기능적 품질에 가장 쉽고, 신속하게 영 향을 줄 수 있는 관리 작업도 바로 잔디밭 예초 관리이기 때문에 장비 선택이 중요하다. 2. 장비 선택 시 고려 요인 예초장비는 기본적으로 이동성, 조절성, 내구성 및 적절한 동력을 갖추어야 하며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쪽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 관리자는 예고, 예초횟수, 잔디밭 품질 의 기대 수준 및 작업 면적 등을 고려해서 예초 장비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그림 2-3]. 3... 2021. 3. 7.
잔디관리 2-1. 예초 컨셉트 및 예초시기 결정 1. 잔디밭 예초의 목적 조경 식재 및 관리 지역의 대표적 지피식물인 잔디는 지피성, 재생력 및 내답압성 등의 특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특성은 잔디밭 조성 후 끊임없이 지상부 엽 조직을 제거하 는 예초 작업을 시행하면서 나타나는 특성이다. 잔디밭 예초의 목적은 미적 가치 향상, 균 일한 잔디면 제공, 플레이 기능 제공, 잔디밀도 증가 및 잡초방제 등이다. 하지만 잔디밭 관리 시 예초 작업의 주요 목적은 잔디밭 용도에 따라 다르다. 2. 잔디 예초와 생리적 반응 예초 작업은 잔디 지상부에 있는 엽 조직 일부를 제거하는 것으로 식물의 중요한 물질대 사인 광합성 대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잔디 예초 시 나타나는 엽 조직 손실과 그에 따른 광합성 능력의 저하는 잔디 생리 및 생태적 특성에 큰 변화를 일.. 2021. 3. 7.
잔디관리 1-2. 관수장비 및 시린징 관수 1. 관수시설: 오버헤드 스프링클러 시스템 잔디밭 관수 시 관수설비는 비용이 저렴하면서 균일하게 살포할 수 있는 시설이 좋다. 골 프장과 같이 대규모 면적의 관수시설은 필요한 시기에 적절한 양의 물을 충분히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관수장비는 잔디밭 위에서 살수되는 오버헤드 방식(overhead)으로 팝업 타입과 로터리 타입이 있다. 1. 팝업 타입 팝업 타입(pop-up type) 스프링클러의 관수 방식은 스프레이 시스템으로 작동되며 작동 시 수압은 보통 1~2kg/cm2 이다. 로터리 타입보다 작동 수압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살수 반경도 6~12m 정도로 다소 짧다. 하지만 분사되는 물방울이 가늘고 골고루 분사됨으로 관수 패턴이 균일하다. 또한, 지표면에 떨어지는 물방울의 수압.. 2021. 3. 7.
잔디관리 1-1. 관수 컨셉트 및 관수시기 결정 1. 수분흡수 및 배출 식물 체내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수분은 종자 발아, 영양분 이동, 기관 발달, 광합성 등 여러 가지 식물 생리작용에 중요하다. 잔디밭에서 관리자가 관수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기상환경, 수분흡수 및 배출요인, 증산작용, 수분 스트레스 반응 등 여러 가지 관련 요인을 식물-토양-수분(Soil-Plant-Water) 콘셉트에 의해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1. 잔디밭에서 수분흡수 (1) 수분흡수 요인 잔디밭에서 수분흡수와 관련된 요인에는 자연 강우, 인공관수 및 모세관수 등이 있다. 국내의 강우 특성은 여름 장마철에 집중되고, 나머지 기간은 소량으로 내리기 때문에 시기에 따라 건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2) 수분 흡수량 잔디밭에서 뿌리가 흡수할 수 있는 수분흡수량.. 2021. 3. 7.
초화류관리 6-2. 초화류 작물 보호제 사용 작물 보호제 작물 보호제는 흔히 농약이라 불리는데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화학적 작물 보호제와 친환경 작물 보호제가 있으며 작물 보호제를 사용하지 않고 천적을 이용하는 생물학적 방제가 있다. 1. 화학적 작물 보호제(농약) 화학적 작물 보호제는 용도에 따라 살충제와 살균제, 살비제, 제초제 등이 있으며 라벨의 색으로 구분한다. 또 제형에 따라 물에 녹여 사용하는 수용제, 수화제, 액상 수화제, 유제, 액제와 그대로 살포하는 분제가 있다. 2. 친환경 작물 보호제 조경용으로는 아직 많이 이용되지 않지만, 아래 두 가지 외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친환경 작물 보호제가 있다. 3. 천적을 이용한 생물학적 방제 조경용으로는 아직 많이 이용되지 않지만 천적을 이용하여 해충을 방제하는 생물학적 방제 방법.. 2021. 3. 6.
초화류관리 6-1. 초화류 주요 병충해 발생 식별 1. 초화류의 병충해 조경 식재지의 초화류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피해를 받아 정상적인 생육을 하지 못하 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원인 중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곰팡이, 세균, 파이토플라스마,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에 의해 일어나는 병해와 식물체의 잎을 뜯어먹거나 흡즙하는 등의 작은 벌레들에 의해 일어나는 충해가 있다.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고 관수와 시비 관리를 적절하게 하여 건전하게 생육시키면 식물의 면역력이 높아 대체로 병충해를 막을 수 있다. 그러나 예방을 위해 미리 약제를 살포하거나 병충해 발병 초기에 약제를 살포하여 구제하 여야 한다. 전염이 강한 병에 걸렸을 경우에는 초화류를 뽑아내어 소각해야 한다. 수행 내용 / 주요 병충해 발생 식별하기 1. 주요 병충해 발생을 식별한다. 초화류를 관찰하.. 2021. 3. 6.
초화류관리 5-1. 초화류 월동 관리 1. 한해(냉해와 동해)의 개념 냉해와 동해를 같이 말할 때, 한해(寒害) 또는 한상(寒傷)이라고 한다. 1. 냉해(冷害, chilling injury) 냉해는 열대 또는 난대 식물이 0℃ 이상의 저온을 겪을 때 받는 피해이다. 냉해는 저온으 로 인해 세포막의 투과성이 저하되어 용질 유출과 기능 저하 등이 일어나는데 온도가 상 승하면 회복되나 냉해를 받은 정도와 기간, 횟수에 따라 잎이 시들고 구부러지는 등 외형 에 이상 증세가 일어나고 생육이 더디어지거나 정지될 수 있다. 저온에 약한 초화류는 봄 의 저온, 만상, 가을 저온, 겨울 첫서리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식물체 전체에 피해를 줄 수 있다. 2. 동해(凍害, freezing injury) 동해는 주로 온대 및 한대 식물에 있어 영하의 온도에 .. 2021. 3. 6.
초화류관리 4-1. 초화류 관수 관리 1. 기상과 관련한 관수 한국의 기후는 사계절이 뚜렷한 온대 지역이고 세계 연강수량의 중간 정도인 1,500mm 정 도로 식생에 좋은 강수량을 가지고 있으나 대부분 여름에 집중되어 있어 홍수와 때로는 가뭄이 지속되는 기후적 특성이 있다. 적당한 강우와 지하로부터의 모관수 상승에 의해 적절한 토양 수분을 유지하면 관수하지 않아도 되지만 여름 고온기와 가뭄 시에는 초화류 에 인위적으로 관수를 해 주어야 한다. 계절별로 온도와 일사량이 달라지고 식물의 생육 단계가 달라지면서 식물의 수분 요구도 는 변화한다. 특히 6∼9월 사이의 여름에는 고온일 뿐만 아니라 일사량이 매우 많아 토양 증발과 식물체로부터의 증산량이 크므로 비가 오지 않는 건조 시나 가뭄 시에는 관수하여 초화류의 수분을 유지시켜야 한다. 2. 식물.. 2021. 3. 6.
초화류관리 3-2. 초화류 식재 초화류 시공 도면 해석 초화류 식재자는 시공 도면을 보고 구매한 초화류를 정해진 식재지에 식재할 수 있어야 한다. 초화류 시공 도면은 보통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인출선으로 초화류의 종류를 표시 한 경우가 있고, 또 인출선으로 표시하기에 종류가 많고 복잡할 때는 식재 종류에 따라 색이나 무늬 또는 번호를 표기하여 도면 한 쪽에 목록표를 만든다. 초화류 시공 도면 표기 방식에 따라 식재 간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도면도 있고 계산 을 해야 하는 도면도 있다. 시공 도면을 보고 면적과 초화류 수량과의 관계를 이해하여 초화류 종류에 따른 경계 내 면적과 초화류 수량을 계산하여 식재 간격을 파악한다. 수행 내용 / 초화류 배치, 식재 및 식재 후 관수하기 1. 초화류를 배치한다. 초화류 시공 도면에 따라 식재지.. 2021. 3. 6.
초화류관리 3-1. 식재 기반 조성 1. 토양의 물리성과 화학성 초화류 식재 기반 조성 토양은 물리성과 화학성이 균형잡힌 양질의 사질 양토가 좋다. 토 양은 흙 알갱이인 고체와 흙 알갱이 사이의 빈 공간인 공극으로 이루어지고 공극은 물과 공기로 채워진다. 식물 생육에 좋은 토양은 고체가 50%, 공극이 50%로, 공극이 물과 공기 로 반 정도 들어차 토양 입자 50%, 수분 25%, 공기 25%의 구성비로 배수성과 통기성, 보 수성이 동시에 좋으며 적절한 양분 요소를 함유하면 좋다. 1. 토양의 물리성 토양은 알갱이의 굵기에 따라 모래(2.0∼0.02mm), 니토(0.02∼0.002mm), 점토(0.002mm 이 하)로 나누어진다. 대부분 이 세 가지가 혼합되어 있는데 이 세 가지 재료가 골고루 혼합 된 토양을 양토라 한다. 모래가 더 많.. 2021. 3. 6.
초화류관리 2-2. 초화류 구매 1. 초화류 시공 도면 이해 초화류 식재 시공 도면을 보고 종류별 초화류의 식재 위치를 찾고 구매를 위해 필요한 초 화류의 종류와 규격, 수량을 파악하여 목록으로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초화류는 품종이 다양해 시공 도면에서 정확한 종류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시장 조사에 의해 시공 도 면이 완성되어도 주문 생산이 아니라면 구매 시 원하는 식물이 없을 수 있다. 특히 종류 에 따른 화색을 비롯한 개화기와 초장, 초폭을 알고 있어야 구매 시 다른 식물로 대체할 수 있다. 2. 초화류 생육 특성 초화류의 크기는 초장과 초폭으로 결정되고 종류와 생육 정도에 따라 크기에 큰 차이를 보인다. 식물의 성숙 정도에 따라 식재지 완성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식재 계획에 따라 필요한 생육 단계에 있는 식물을 구매하여.. 2021. 3. 6.
초화류관리 2-1. 초화류 시공 도면 작성 1. 초화류 식재 시공 도면 초화류 식재 시공 도면은 기본 계획에 설계된 초화류 식재지의 식재를 시공자가 수행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그린 식재 계획도(planting plan)이다. 식재 계획도에는 초화류를 식재 할 위치가 표시되고 식재할 모든 초화류의 일반명, 학명, 크기, 수량, 상태 등을 나타낸다. 초화류는 같은 종에서도 품종이 매우 많으며 계속 신품종이 생산되고 있어 학명으로 표기 하지 않으면 잘못 구매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초화류 식재 시공 도면은 설계자의 성향이나 통용되는 표현 방법에 따라 다르게 표현할 수 있다. 초화류 식재 도면은 대부분 평면도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으나 초장을 고려한 입 체적인 디자인 시에는 입면도를 같이 작성할 필요가 있다. 2. 초화류 선정 초화류는 각 식재 공간.. 2021. 3. 6.
초화류관리 1-2. 초화류 시장 조사 초화류의 생산, 유통 구조 국내 화단용 초화류 생산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2013년 기준 화훼 재배 현황 통계에 생산량이 많아 이름이 기재된 주요 초화류는 18종류이며 대부분 일년초이고, 이 중 페튜니 아와 팬지의 판매량과 판매 금액이 가장 많다. 초화류 재배 농가수의 52%, 재배 면적의 31%가 경기도에 있으며, 경기도의 초화류 판매량은 전국 판매량의 67%, 판매 금액의 59%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초화류 유통은 화훼 재배 현황 통계 자료에서 연도별 전국의 화훼 공판장 거래 실 적에 기재되지 않을 정도로 전근대적인 유통 구조로 초화류 관리자들이 구매를 위한 노력 을 많이 기울여야 한다. 국내 최대 초화류 생산지가 경기도인 만큼 성남, 용인, 하남, 고양 등의 초화류 생산 농원에서 직접 구매하거.. 2021. 3. 6.
초화류관리 1-1. 계절별 초화류 조성 계획 1. 조경용 초화류 초화류는 종류에 따라 생육 특성이 다를 뿐만 아니라 크기가 다르고 화색이 다양하며 개 화 시기와 기간이 다르다. 조경용 초화류는 생육 특성에 따라 일년초와 다년초(숙근초)로 나눈다. 다년초는 특성이 다른 구근류, 암석원 식물, 그래스류, 고사리류, 수생 식물을 분 리하여 다루고, 나머지를 일반적으로 좁은 의미의 다년초라 한다. 원산지의 기후 환경과 관련하여 일년초와 구근류에서 봄에 파종하는 춘파 일년초와 가을 에 파종하는 추파 일년초, 그리고 봄에 식재하는 춘식 구근과 가을에 식재하는 추식 구근 으로 나뉘는 특성을 이해하여, 파종 또는 식재 시기를 맞추어 묘 구입 시기를 달리하거나 이와 관련하여 관리한다. 2. 초화류 연간 관리 계획 초화류는 연중 크기가 빠르게 변화하며 개화기가 일정.. 2021. 3. 6.
[이스라엘] 주기도문교회 (Pater Noster) 주기도문이 시작되는 라틴말을 따서 지은 교회로 예수께서 제자들에게 주기도문을 가르치신 곳이며, 이세상 말기에 나타나는 징조들에 관해서 설파하신 곳이라 전해지고 있다. 서기 4세기에 콘스탄틴 대제가 예수의 말씀을 기리기 위하여 이곳 감람산 위에 처음으로 교회를 세웠으나 614년 페르시아 침공시 파괴되고, 12세기 십자군에 의해 다시 세워진 교회 또한 회교도에 의해 파괴되었다. 주기도문 교회 돌담에 철도된 문을 열면 제단 뒤에 종려나무가 서있는 뜰이 있다. 1920년에 프랑스 정부는 예수께서 제자들을 모으고 주기도를 가르치셨다는 굴위에 교회를 세우기 시작했다. 재정난으로 인해 건축은 완성되지 않았다. 이곳 밑에는 두 개의 굴이 있다. 하나는 예수님이 말세에 될 일에 대해서 제자들에게 말씀하신 곳이고 다른 하.. 2020. 7. 23.
[이스라엘] 예루살렘 성전 파괴 주전 323년은 중동 역사에서 큰 획을 그은 해였다. 역사의 무대에 혜성처럼 나타나서 젊은 나이에 가장 넓은 영토를 정복한 알렉산더 대왕이 33세의 나이로 요절한 것이다. 오늘날 이라크의 바벨론에서 알렉산더가 열병으로 숨을 거두었을 때 그가 남겨놓은 거대한 제국은 어느 누구도 홀로 통치할 수 없는 광활한 영역이었다. 자연히 그의 부하 장군들 사이에 통치 영역이 분할되었다. 이집트는 프톨레마이오스 장군에게 돌아갔고 그는 항구 도시 알렉산드리아를 중심으로 프톨레미 왕조를 이루었다. 또 시리아를 중심으로 한 소아시아 지역은 셀레우코스 장군에게 할당되었고 안디옥(안티오크)을 수도로 하여 셀레우코스 왕조를 이루었다. 이들 희랍의 통치세력 사이에 위치한 것이 유대인들의 땅 팔레스타인이었다. 약 100년 이상 팔레스.. 2020. 7. 10.
America is obsessed with 'Jessica Song'! Here is the Parasite tour course that takes you to the shooting locations. Bong Joon-ho's “Parasite” is the first Korean film to win the Palme d'Or at the Cannes film festival. The film's storyline centers around the Kim family, which struggles financially with no one in the family holding a permanent job, but maintains good relations with the affluent family of President Park as Ki-woo, the eldest son of Ki-taek happens to land a high-paying private tutor position in .. 2020. 2. 13.
[스위스] 체르마트 고르너그라트 유럽에서 가장 높은 개방형 톱니바퀴 열차로, 체르마트(Zermatt)에서 24분 간격으로 출발한다. 햇살이 풍부해 계절에 관계 없이 1년 내내 갈 수 있는 해발 3,089m의 고르너그라트(Gornergrat) 전망대까지 운행한다. 마테호른(Matterhorn), 뒤푸르슈피체(Dufourspitze)와 같은 29개 이상의 4,000m급 봉우리는 물론, 알프스에서 세 번째로 긴 빙하 등이 있는 고르너그라트(Gornergrat)는 압도적인 전망으로 방문객들에게 즐거움을 안겨준다. "세기를 관통하는 고르너(Gorner) 빙하“ – 2016년 6월부터 시작된 테마 패스는 고르너 빙하의 매력적인 이야기를 전해준다. 고르너 빙하가 소빙하기(Little Ice Age) (약 1300-1850/60년) 동안 사람이 사는.. 2020. 1. 14.
[스위스] 빙하 특급(Glacier Express) 세상에서 제일 느린 특급 열차라는 별명을 가진 빙하특급 여정은 약 8시간 동안 91개의 터널과 291여개의 다리를 지나 알프스를 통과한다. 빙하 특급은 엥가딘(Engadine) 계곡에서 곧바로 마터호른(Matterhorn)까지 감각적인 여정을 이어간다. 화려한 생모리츠(St. Moritz)부터 세련된 체르마트(Zermatt)까지 여유로운 속도로 달리며 승객들에게 아름다운 풍광과 감탄스런 기술적 성취를 펼쳐낸다. 높은 파노라마 창문이 설치된 빙하 특급은 한 치의 가림 없는 풍경을 감상할 수 있다. 엑설런스 클래스(Excellence Class) 스위스 알프스를 관통하는 기차 여정이 보다 더 품격있어졌다. 창가 좌석과 익스클루시브 바, 엔터테인먼트, 컨시에지 서비스, 퍼스널 트래블 가이드가 준비된 빙하 특급.. 2020.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