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160

생장 조절제 이용하기 3-1. 생장 조절제 종류 1. 생장조절제의 정의 화훼 작물의 재배 시 개화시기를 촉진시키거나 억제시킬 경우, 일차적으로 환경을 조절함으로써 개화시기를 조절하는데, 그것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울 경우 생장 조절제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휴면 종자가 발아한 후 자라서 개화, 결실 그리고 고사하기 까지 식물의 모든 생장과 발육을 조절하는 물질을 식물호르몬 (phytohormone)이라고 하는데, 현재까지 명확히 알려져 있는 식물호르몬은 옥신(auxin), 지베렐린(gibberellin, GA), 시토키닌(cytokinin), 아브시스산(abscisic aci, ABA), 에틸렌(ethylene) 등이다. 이러한 다섯가지 호르몬에 대해서는 식물체 내 합성 기작뿐만 아니라 그 역할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다. 호르몬은 생장이 활발한 줄.. 2022. 5. 1.
온도조절하기 2-1. 온도처리 1. 온도조절에 의한 개화조절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화아분화와 개화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에 차이가 있는데, 특히 온대산식물과 열대산식물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온대산식물은 개화하기 위해서는 한동안 낮은 온도에서 자라야 하고 반대로 열대산 식물은 높은 온도에서 자라야 한다. 온대산 식물은 대개 1년을 1주기로 하여 잎과 줄기만 자라는 영양생장과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리는 생식생장 및 잠시 낙엽하고 쇠퇴하여 휴면하는 시기가 되풀이 된다. 그러나 열대산식물은 항상 생육하며 휴면을 거의 하지 않는다. 다만 우기와 건조기의 구별이 있는 곳에서 자라는 식물은 그 때 휴면하는 경우도 있다. 1. 휴면과 로제트 한대나 온대 지방이 원산지인 일·이년초나 숙근초, 열대나 아열대가 원산지인 구근류, 화목류 중에는 생육 도중 .. 2022. 3. 31.
일장조절하기 1-2. 암막처리 암막처리(차광재배) 암막처리(차광재배)는 주로 자연 일장이 긴 계절에 단일성 식물의 화아를 형성시켜 개화를 촉진시킬 때 사용한다. 현재 국화, 포인세티아, 칼랑코에 등이 차광 재배를 통하여 촉성 재배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은 가을 국화의 촉성 재배이다. 한편, 장일성 식물의 개화를 지연시킬 때 차광하여 단일 처리하는 경우는 개화기가 8월인 에크메아를 4월부터 단일 처리해서 개화를 억제시키는 것 외에는 거의 없다. 수행 내용 1 / 암막 설치 하기 1. 먼저 하우스의 규격에 맞는 암막을 준비 한다. 치마, 출입구, 출입문, 너비부분, 전체 부분를 여유 있게 측정해서 준비한다. 2. 치마부분을 스프링으로 고정한다. 3. 비닐의 남은 부분은 흙으로 덮는다. 4. 하우스 중앙천정밖에 패드를 설치 한다. .. 2022. 3. 31.
일장조절하기 1-1. 전조처리 1. 작물의 개화 화훼 작물의 생장과 발육은 동물들과는 달리 토양, 수분, 양분, 온도, 그리고 빛 등과 같은 환경에 결정적인 영항을 받기 때문에, 부적절한 환경 하에서는 개화 하지 않고 단지 영양 생장만 지속한다. 따라서 노지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화훼 작물은 그 종류와 재배 지역에 따라 특정한 시기에만 개화를 반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화훼 작물이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감응하여 스스로의 생장과 발육을 조절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화(開花, flowering)란 식물이 일정 기간의 영양 생장을 마치고 번식을 위해 생식 생장으로 전환하는 단계로서, 개화에는 충분한 영양 생장과 여러 가지 환경 요인들이 관여한다. 화훼 작물의 개화에는 환경 요인 중 온도와 일장이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2022. 3. 13.
건조형실내정원을 위한 다육식물의 선택 건조형 실내정원을 위한 다육식물의 선택 다육식물 종류별 이미지 분류 형태 다육식물의 생육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이미지를 분류해 볼 수 있다. 잎의 색깔 백분(白粉) 다육식물 잎에 생기는 백분은 강한 햇볕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다육식물 잎들이 분비하는 epicuticular wax라고 하는 왁스질 결정으로 햇볕을 많이 받을수록, 백분이 더 많이 생긴다. 다육식물 잎의 백분은 주로 어린 세포들에서 분비된다. 그래서 새로 나오는 어린잎들은 왁스질 분비가 왕성해서 뽀얀 빛이 확실하지만, 오래된 잎들의 경우엔 이 분가루가 손상되면 회복 속도가 느리거나 회복이 잘 안 된다. 강한 햇볕(자외선) 차단 식물이 가지고 있는 수분의 외부로의 유실, 손실 방지 방수기능 곰팡이, 바이러스 등의 서식 억제 한낮의 강한.. 2022. 2. 14.
건조형실내정원 다육식물의 기본정보 다육식물의 기본정보 다육식물의 정의 다육식물이란? 건조한 사막이나 높은 산에서 장기간 건조에 견딜 수 있도록 지상의 줄기나 잎에 다량의 수분을 저장하는 식물로서, 특히 줄기나 잎이 수분을 많이 함유한 식물을 말한다. 다육식물의 원산지와 생육지 다육식물의 원산지는 아프리카 남부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대륙 전체, 카나리아 제도, 마다가스카르 섬, 아라비안반도 남부인도 등이며, 기후적으로 우기와 건기(乾期)가 구별되는 지역이다. 그 다음으로 많이 자생하고 있는 지역으로는 아메리카 남서부, 멕시코에서 중미와 남미 서부이다. 다육식물의 생육지는 일반적으로 온대에서 열대에 걸친 건조지역에 분포하는데 드물게는 한랭지에 서식하는 것도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케냐, 소말리아 등 동아프리카 여러나라와 사막보다는 건조한 고.. 2022. 2. 14.
실내정원관리 물주기의 올바른 시기 물주기의 올바른 시기 물주는 시점을 알아내는 최고의 방법은 겨울에는 1주에 한 번씩, 여름에는 매일 흙의 수분이 말라가는 것과 식물의 시듦 단계를 잘 살펴보고, 식물의 시듦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물을 공급하는 것이다. 식물의 시들어 가는 증상을 잘 살펴본다. 예) 스파티필룸의 시듦 단계 토양이 얼마나 건조한지 테스트하는 방법 토양이 얼마나 건조해졌는지 예측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1. 육안으로 판단하기 분흙의 수분 정도를 눈으로 보고 판단할 수 있다. 2. 화분 겉 표면 막대기로 두드려보기 분흙의 수분 정도에 따라 화분 겉 표면을 막대기로 두드렸을 때 들리는 소리가 다름으로 물주기를 판단해 보는 것이다. 정확한 방법은 아니지만, 한번 시도해 볼만한 재미있는 방법인 듯하다. 3. 화분 들어보기.. 2022. 2. 14.
실내정원관리 물주기의 실제 물주기의 실제 물주는 방법 물주는 방법은 물뿌리개 이용법과 물이 있는 용기에 담아서 주는 법, 크게 두 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장점이 있다. 대부분의 식물에 있어서 가장 빠르고 쉬운 물주기법은 물뿌리개를 이용하는 것이고 때로는 용기에 물을 담아서 저면 관수해 주는 방법이 필요할 때가 있다. 물뿌리개 사용 물뿌리개는 길고 얇은 주둥이가 달린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주둥이의 끝이 잎 아래쪽에 놓이게 해서 천천히 부드럽게 물을 준다. 성장기 동안 잎이 무성할 경우는 화분 가장자리에 대고 물을 준다. 겨울에는 화분바닥의 배수구멍으로 물이 나오자 마자 물주기를 멈춘다. 30분 후 받침대에 고인 물을 버린다. 뜨거운 태양 아래에서 잎에 물이 철벅일 정도로 주면 잎이 볕에 탄다. 특히 배수구가 없는 화분에 물을 줄.. 2022. 2. 14.
실내정원관리 물주기의 문제점 물주기의 문제점 물이 흡수되지 않음 토양표면이 굳어있음 원인 : 표면이 딱딱하게 굳어있다. 처치 : 포크나 작은 모종삽으로 표면을 찔러준다. 목욕통이나 바스켓에 흙 높이만큼 물을 담고 화분 째 담근다. 토양이 뭉쳐서 화분 안쪽으로 틈이 생김(물을 주면 틈으로 다 흘러 내린다) 원인 : 화분 가장자리로부터 흙이 줄어들어 있다. 처치 : 목욕통이나 바스켓에 흙 높이만큼 물을 담고 화분 째 담근다. 화분속의 흙이 너무 많음(물이 겉으로 흘러 버린다) 원인 : 흙이 너무 많거나 식물의 뿌리 부분이 많이 자라서 위로 솟아있다. 처치 : 목욕통이나 바스켓에 흙 높이만큼 물을 담고 화분 째 담근다. 가능하면 분갈이나 포기 나누기를 해서 물주기가 쉽도록 한다. 물의 양 너무 적은 물 물을 좋아하는 뉴기니아 임파티엔스는.. 2022. 2. 14.
실내정원관리 물주기의 일반적인 법칙 물주기의 일반적인 법칙 꽃집에서 식물을 구매할 때 꼭 물어보는 말이 있다. 식물 이름표가 없을 때, “이 식물 이름이 뭐예요?” 다음은, “며칠에 한 번씩 물을 주면 돼요?” 그러나 화분을 구매한 사람마다 배치하는 공간이 다 다르므로 화원 주인이 제시한 기준이 정답이 될 수 없다. 실제 식물을 기르고 있는 사람들중 “물주기가 너무 어려워”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래서 식물을 생산, 관리하는 일에는 ‘물주기 3년’이라는 용어도 생겨났다. 아주 쉬워 보이지만 경험할수록 어려운 것이 식물의 물주기이다. 왜냐하면 식물마다 개성이 있고 처한 환경에 따라 물주기가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물을 좋아하는 정도가 서로 다른 실내식물을 다양하게 모아놓은 곳에 일괄적인 물주기는 결코 쉽지 않다. ‘언제 얼마만큼.. 2022. 2. 14.
실내정원관리 분갈이 1) 분갈이가 필요한 때와 분갈이 시기는? Q) 분갈이는 얼마에 한 번씩 하나요? A) 성장이 왕성하여 1년마다 사는 집이 비좁아지는 식물은 매년 봄에, 2년 정도 되어야 새집이 필요한 식물은 2년마다, 성장이 아주 느린 식물은 필요한 시기에 해 준다. Q) 분갈이에 가장 좋은 시기는? A) 식물도 동물처럼 휴식이 필요하며 대부분의 식물은 한겨울을 휴식기로 선택한다. 그러나 봄이 오면 다시 새로운 생명 활동을 시작하므로 아직 꽃망울이 맺히기 전에 분갈이가 필요한 식물들은 분갈이를 한다. 그러나 너무 이른 봄보다는 좀 더 따뜻해졌을때(4~5월경) 새 집으로 이사하고 싶어 하는 식물들도 많다. Q) 분갈이가 필요한 때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 A) 분갈이가 필요할 때 식물들은 열심히 신호를 보낸다. 뿌리가 .. 2022. 2. 14.
화분 분갈이 방법 리포터: 안녕하세요. 최신 농업기술들을 발빠르게 전달해드리는 농발전 아나운서 심수진입니다. 여러분 생일이나 개업 또는 이사하면서 이런 화분 정말 많이 받으시죠? 처음에 받았을 때는 정~말 좋지만, 날이 갈수록 시들어가는 화분들 보면 ‘아~ 차라리 현금으로 줬으면…’ 하는 생각 다들 하셨을텐데요. 그래서 오늘은 화초를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분갈이 요령에 대해 준비했습니다. 먼저 도움 주실 연구관님 소개해 드릴게요. 안녕하세요. 연구관: 네! 안녕하세요. 농촌진흥청에서 실내식물들을 키우고, 연구하는 김광진입니다. 1. 분갈이 시기 리포터: 연구관님! 화분에서 식물을 키우는데 있어 실패의 가장 큰 원인은 분갈이를 제때 하지 못해서 라고 하던데요. Q: 분갈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연구관:.. 2022. 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