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159

[터키] 데린구유 지하도시 카파도키아를 더욱 경이롭게 하는 또 하나의 요소는 최대 3만명까지도 수용이 가능한 대규모 지하 도시이다. 이 곳의 형성시기에 관한 정확한 자료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히타이트 시대 즈음이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BC 6세기 경 문헌에 의하면 당시 카파도키아는 페르시아의 지배를 받았고, 조로아스터교가 널리 퍼져 있었다. 카파도키아는 BC 190년 로마가 마그네시아에서 승리를 거둘 때까지는 셀레우스 왕조의 세력권에 포함돼 있었으나, 그 이후는 로마에 충성을 바쳤으며 11세기까지 동로마제국의 보루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실크로드의 중간거점으로 동서문명의 융합을 도모했던 대상들의 교역로로 크게 융성했으며, 초기 그리스도교 형성 시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로마시대 이래 탄압을 받던 그리스도 교인들이 이곳.. 2023. 10. 20.
2023년 4분기 정기안전보건교육-6H 요점정리 1차시 산업안전보건법 - 법체계와 안전보건 산업안전보건 업무를 주관하는 정부부처 - 산업안전보건 업무는 고용노동부 소관이다. 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조치에 따르는 것은 근로자의 의무 사항이다 산업재해발생 보고는 사업주의 법률상 책임 사항이다. 산업재해 중 중대재해 - 사망자 1인이 발생한 재해 -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산업재해 기록보존 사항 - 사업장 개요 및 근로자 인적사항 - 재해발생 원인 및 과정 - 재해재발방지 계획 2차시 산업안전보건법 - 교육규정과 위험성평가 안전보건교육 규정상 사무직 및 판매업무 근로자가 받아야 하는 정기교육 시간은 매분기 3시간 이상이다.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의 교육구.. 2023. 10. 9.
식물보호 산업기사 기출 2023년 2차 필답형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9. 20.
아스플레니움 니두스 Asplenium nidus 방 안의 작은 정글 새둥지 양치식물 돌보기의 모든 것 새둥지 고사리라고도 알려진 Asplenium nidus 식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기꺼이 제공해 드리겠습니다. 이 무성한 열대 양치류는 실내 및 그늘진 야외 공간에 인기 있는 선택입니다. 개요: Asplenium nidus는 새의 둥지를 닮은 크고 물결 모양의 밝은 녹색 잎을 가진 독특한 양치류로, 일반적인 이름이 붙었습니다. 열대 및 아열대 지역이 원산지이며 나무나 바위에 흔히 자랍니다. 적절하게 관리되면 Bird's Nest Ferns는 집에 열대의 우아함을 더할 수 있습니다. 조명 요구사항: 새둥지 양치류는 중간에서 밝은 간접광에서 잘 자랍니다. 그들은 밝고 여과된 햇빛을 선호하지만 직사광선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해야 합니다. 햇빛에 노출되면 연약한 잎이 탈 수 있습니다. 온도 및 습도: 이 양치류.. 2023. 8. 31.
예수님의 가시면류관 Crown of Thorns 꽃기린 꽃기린은 쌍떡잎식물 쥐손이풀목 대극과의 목본상 다육식물로, 꽃이 솟아 오른 모양이 기린을 닮았다고 하여 꽃기린이라고 합니다. 꽃기린의 학명은 Euphorbia milii Ch. des Moulins.이며, 가시가 있어 영어 이름은 예수님의 가시면류관을 뜻하는 Crown of Thorns 입니다. 꽃으로 보이는 것은 사실은 불염포(佛焰苞)이며, 꽃말은 고난의 깊이를 간직하다입니다. 햇빛은 양지에서 반양지까지 강한 직사광선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온도는 18~25°C, 겨울에는 7°C 이상의 환경에서 키우는 것이 좋습니다. 물주기는 속흙이 마르면 충분히 주고, 배수가 잘되는 흙에서 비료와 분갈이는 봄과 가을에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꽃기린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환경**: 햇빛.. 2023. 8. 27.
구근에서 꽃으로 칼라릴리(잔테스키아과) Calla lily 칼라 백합은 남부 아프리카가 원산지인 아름답고 우아한 꽃 식물입니다. 이름과는 달리 진짜 백합은 아니지만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입니다. 이 식물은 독특한 깔때기 모양의 꽃과 광택이 나는 녹색 잎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칼라 백합의 가장 눈에 띄는 특징은 흰색, 노란색, 분홍색, 심지어 짙은 보라색까지 다양한 색상의 꽃입니다. 꽃은 실제 꽃 부분인 중앙의 꽃받침을 감싸고 있는 하나의 꽃잎 모양의 포엽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독특한 구조 덕분에 칼라 백합은 우아한 외관을 자랑합니다. 칼라 백합에 대한 몇 가지 핵심 사항을 소개합니다: 성장 조건: 칼라 백합은 남부 아프리카라는 따뜻한 곳에서 자라는 식물입니다. 칼라 백합은 물이 잘 빠지는 토양에서 살기 때문에 너무 축축해지지 않아요. 햇볕을 좋아하지만 너.. 2023. 8. 8.
[그리스] 바울이 두번들러 복음전한 아덴(아테네) 아덴(Athens·아테네)은 헬라(고대 그리스)의 중심도시로 서양문명의 모태인 고도(古都)이다. 2000여년 전 사도 바울은 그리스 북부 지역인 마게도냐의 빌립보 암비볼리 아볼로니아 데살로니가 베뢰아 등지의 전도여행을 마친 뒤 배를 타고 아덴으로 갔다. 그러나 나는 단 한번 밧모섬에서 배를 탔던 것 외에는 모두 비행기를 이용하여 아덴에 도착했다. 아덴은 오늘날 그리스 수도인 아테네이다. 아티카 반도 중앙 살로니카만 연안에 위치해 있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이곳에 도시가 처음 세워졌을 때 아테나(Athena) 여신과 포세이돈(Poseidon) 사이에 이 도시에 대한 주도권 쟁탈전이 벌어졌다. 결국 누가 이 도시에 더 유용한 선물을 가져오느냐로 승부를 결판 짓게 되었다. 지혜의 여신 아테나는 올리브 기름을.. 2023. 8. 6.
2023년 3분기 정기안전보건교육-6H 요점정리 1차시 직장 내 괴롭힘의 이해와 예방 ¡ 직장 내 괴롭힘 성립조건 - 업무상 적정범위 - 문제의 행위가 업무관련성이 있는 상황에서 발생한 것 - 직접적인 업무 수행 중에 발생되지 않아도 업무수행을 빙자하여 발생한 경우 업무관련성으로 인정 - 업무관련성이 인정되더라도 그 행위 양태가 사회 통념상 문제가 된다면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정 ¡ 직장 내 괴롭힘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 생산성 감소 및 손실비용이 발생한다. - 사회적 기업 이미지가 하락된다. -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조직 차원의 전략적 대응은 개인과 조직 모두에 영향을 끼친다. ¡ 직장 내 괴롭힘 예방하기 위한 사업주의 역할 - 예방 및 대응 프로그램 수립 및 지침을 마련한다. - 위험 요인에 대해 주기적으로 점검 및 관리한다. - 직장 내 괴롭.. 2023. 8. 6.
칼라테아 인시그니스로 열대 오아시스 만들기 Calathea insignis 방울뱀 식물 또는 칼라테아 란시폴리아라고도 알려진 칼라테아 인시그니스 이 식물은 눈에 띄는 단풍으로 유명한 인기 있고 매력적인 열대 관엽식물입니다. 칼라테아 종은 마란타세아과에 속하며 브라질의 열대우림이 원산지입니다. 칼라테아 인시그니스는 짙은 녹색을 띠는 창 모양의 잎과 연한 녹색의 물결 선과 줄무늬가 독특한 패턴을 이루고 있어 이름 붙여진 식물입니다. 잎의 밑면은 종종 짙은 적갈색으로 아름다움을 더합니다. 잎은 길고 곧게 뻗은 줄기에 달려 있으며, 보통 약 2피트(60cm) 높이까지 자랍니다. 다른 칼라테아 종과 마찬가지로 칼라테아 인시그니스는 시각적인 매력뿐만 아니라 독특한 잎의 움직임으로도 가치가 높습니다. 이 식물은 밤에 잎이 접혔다가 아침에 펼쳐지는 "nyctinasty 나익타내스티"라는 현상.. 2023. 8. 4.
식물보호 (산업)기사 기출 2023년 1차 필답형 1. 병징과표징 병징: 식물의 외형 혹은 조직의 변화, 빛깔 등에 이상이 나타나는 현상 표징: 병이 발생시 병원체 자체가 나타나 식별되는 현상 2. 최적온도 : 작물 생육에 가장 적합한 온도 3. 적산온도 : 작물이 일생을 마치는데 소요되는 온도의 총량. 작물의 발아로부터 성숙에 이르기까지의 0도이상의 일평균 기온을 합산한 온도. 4. 윤작의 효과 5가지 : - 지력의 유지 및 증진 - 기지의 회피 - 병해충 및 잡초의 경감 - 토지이용도의 향상 - 수량 및 생산성의 증대 - 노력분배의 합리화 - 농업경영의 안정성 증대 - 토양보호 5. 기생성천적 : 해충의 내외에 기생하는 곤충으로 곤충 내외에 산란하고 성장하여 결국에는 기주인 해충을 죽이는 곤충으로 해충 밀도 조절에 이용된다. 기생벌, 기생파리, 기생.. 2023. 8. 3.
파키라 키우기 Pachira Pachira는 매력적인 외모와 장식적 가치로 알려진 열대 나무와 관목의 속입니다. 가장 잘 알려진 종은 일반적으로 돈 나무 식물 또는 돈 식물로 알려진 Pachira aquatica입니다. 중남미가 원산지이며 전 세계적으로 실내 및 실외 식물 애호가들에게 인기 있는 선택입니다. 외관: Pachira 식물은 독특하고 눈길을 끄는 외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들은 많은 경우에 꼰 트렁크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그들의 매력을 더하고 장식 목적으로 좋아하게 만듭니다. 잎은 크고 광택이 나며 복합적이며 일반적으로 중앙 지점에서 방사되는 5-9개의 전단지로 구성됩니다. 전단지는 일반적으로 난형 또는 랜스 모양입니다. 꽃: 성숙하고 잘 관리하면 Pachira aquatica는 아름답고 화려한 꽃을 피울 수 있습니다... 2023. 7. 29.
인도 고무나무의 아랫잎이 노랗게 변하는 이유는? 인도 고무나무라고도 알려진 고무나무(Ficus elastica)의 아래쪽 잎이 노랗게 변하는 것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아래쪽 잎이 노랗게 변하는 몇 가지 일반적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연 낙엽: 고무나무 아래쪽의 오래된 잎이 노랗게 변하고 떨어지는 것은 정상입니다. 식물이 자라면서 아래쪽 잎을 떨어뜨려 에너지를 새로운 성장으로 전환합니다. 아래쪽 잎만 노랗게 변하고 위쪽 잎은 건강하다면 이는 식물 성장 주기의 자연스러운 부분일 수 있습니다. 과습: 고무나무는 과습되면 뿌리 썩음에 취약합니다. 토양에 과도한 수분이 있으면 뿌리에 산소가 부족하여 뿌리가 썩을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식물은 잎이 노랗게 변하는 것과 같은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식물이 배수가 잘되는 토양에 있는지.. 2023. 7. 27.
[그리스] 사도 요한이 계시받은 밧모섬 밧모섬은 그리스의 영토이다. 하지만 터키 해안에서는 불과 60㎞밖에 떨어져 있지 않으나 아테네에서는 250㎞나 떨어져 있다. 이곳에 가기 위해서는 아테네 피레우스 항에서 배로 가는 방법과 아테네에서 비행기로 사모스섬까지 가서 그곳에서 배로 가는 방법이 있으며 터키 에베소의 쿠사다시항에서 배로 가는 방법이 있다. 고스섬 방문 일정을 마친 나는 사모스섬 방문에 앞서 두 섬 중간에 있는 밧모섬을 일주하기로 하고 오후 1시에 밧모섬으로 가는 배표를 샀다. 배는 출항한지 2시간30분만인 오후 3시 30분께 밧모섬 스카라 항구에 도착했다. 밧모섬의 크기는 남북이 약 16㎞,동서로는 넓은 곳이 약 10㎞이며 중간 부분은 잘룩하여 너비가 불과 1㎞정도밖에 안된다. 해안 굴곡이 심하여 주위 둘레는 약 60㎞에 이르나 면.. 2023. 7. 23.
인위적피해 5-1. 피해 특성 파악 및 복구 대책 결정 1. 생물적 원인과 비생물적 원인 판별 수목에 피해를 주는 원인은 생물적인 원인과 비생물적인 원인이 있다. 피해 증상만으로 비생물적인 원인에 의해 수목에 피해가 나타났다는 것을 확인하는 일은 어렵지만 추정할 수 있는 증상이 있다. (1) 비생물적 원인에 의한 피해 확인 수목의 가지, 잎, 줄기, 뿌리에 나타난 병징, 표징을 토대로 비생물적 원인에 의한 피해임을 확인한다. 수관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피해, 뚜렷한 표징이 보이지 않는 경우, 가해 해충의 피해 증상이 명확히 드러나는 것 등의 흔적으로 확인한다. (2) 피해량 확인 비생물적 원인에 의한 피해가 확인되면 가지, 잎, 줄기, 뿌리의 피해량이 정확히 조사되었는지 확인한다. 2. 피해지 입지환경 및 피해수목 특성 파악 1차 조사된 내용을 토대로 실내에서.. 2023. 7. 23.
인위적피해 4-2. 부위별 피해량 조사 1. 가지 수목의 피해가 가지에 나타난 경우 피해량은 건전한 상태의 가지량을 기준으로 현재 가지량을 조사한다. 울폐도기를 이용하여 수관의 밀도를 측량한다. (1) 울폐도율 울폐도는 울폐도기에 나타나는 비율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오목형과 볼록형이 있는데 울폐도기에 나타난 비율을 계산하여 조사한다. 심, 중, 경 또는 %로 피해량을 조사할 수 있다. (2) 육안조사율 전체 살아있는 가지의 양과 가지의 고사율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조사한다. 심, 중, 경으로 조사할 수 있다. 2. 잎 잎에 나타난 피해량은 일정 가지의 피해잎 양을 전체 잎량으로 나눠 조사하는 방법이다. 심,중,경 또는 %로 조사할 수 있다.피해가 나타난 잎을 전체 잎으로 나눈다. 솔잎혹파리나 기타 다른 병해충의 잎 조사에 이용된다. 결과는 심(.. 2023. 7. 22.
인위적피해 4-1. 피해 부위 조사 수목에서 나타나는 피해증상은 잎, 줄기, 가지, 뿌리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피해량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어떤 부위에 피해가 나타났는지를 확인하고 피해 유무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1) 수목의 피해부위 유형(가지) 가지에서 나타나는 피해유형은 가지고사이다. 어떤 가지가 죽었는지 살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잘라보는 방법이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잎이 달려 있는 부분이 생존부위 잎이 달려 있지 않으면 고사한 분위로 판정을 할 수 있다. (2) 수목의 피해부위 유형(잎) 상당수의 생물적 원인에 의한 피해는 잎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병해의 경우 병반이 잎에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해충의 경우 가해습성별로 잎에 흔적을 남긴다. 식엽성은 잎을 갉아먹은 흔적을 나타내고, 흡즙성은 배설물 등을 남기는 특징이 있다.. 2023. 7. 16.
전남 영광군 염산면 염산교회 영광 염산교회 1939년에 세워진 염산교회는 6·25동란 때인 9월 29일 국군이 영광에 진군해 들어왔을 때 미처 퇴각하지 못한 공산주의자들이 10월 7일 교회당을 불 지르고 교인을 바닷가 수문통에서 새끼줄로 묶고 돌멩이를 달아서 수장시키는 참상이 벌어졌다. 이때 전교인의 3분의 2인 77명이 순교했다. 전남 영광은 6.25전쟁당시 라디오 방송에서는 남한이 더 우세하다는 오보로 전쟁에 대해 전혀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전국에서 가장 큰 전쟁피해를 보았던 지역이다. 그러던 중 7월 23일 갑자기 공산군이 몰려들었다. 수많은 희생자를 내고 군수도 피난을 못가고 피살되었다. 공산군들은 우선 교회를 폐쇄했다. 1939년에 세워진 염산교회는 교회에서 예배를 드릴 수 없게 되자 피난을 거부한 김방호 목사가 성도들 .. 2023. 7. 8.
인위적피해 3-2. 부적절한 토양 환경에 따른 피해 토양에 의한 수목 피해는 증상이 일반적으로 수목 전체에 나타난다. 토양 오염이나 과습, 교란 등은 잎의 크기가 작아지거나 잎이 끝이 말라 타들어가는 증상을 보인다. (1) 토양 오염 토양 오염의 대표적인 경우는 제초제와 염화칼슘이다. 제초제는 비선택성을 사용하는 경우에 많이 나타나는데, 호르몬 계열의 경우에는 잎이 비대 생장 또는 과다 공급에 의한 잎의 주름짐 등의 피해 증상으로 나타난다. 그 정도가 더 심해지면 수목이 고사하기도 한다. 조사하는 방법으로는 잎에 나타난 피해 증상(병징)으로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토양 분석 등에 의한 조사는 시행 기관이 드물어 어려움이 있다. 염화칼슘에 의한 피해는 잎의 끝이 타들어가는 증상과 전기 전도도(EC)로 확인할 수 있다. 피해가 나타나는 장소가 겨울철 내린.. 2023. 7. 8.
인위적피해 3-1. 관리 부실에 따른 피해 1. 피해 원인 식별하기 생물적 원인과 비생물적 원인 판별 수목에 피해를 주는 원인은 생물적인 원인과 비생물적인 원인이 있다. 관리상 주로 나타나는 피해는 생물적인 경우에 병해 또는 충해에 의한 피해가 많으며, 비생물적인 경우에는 수분 부족 또는 저온 등에 의해 나타나는 피해가 많다. (1) 수목의 피해 유형(수관) 생물적 원인에 의한 피해는 수관의 일부분에서 나타나는 경향이 짙다. 특정 방향 가지라든지 특정 가지에서만 피해가 나타난다. 하지만 비생물적 원인에 의한 피해는 수관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최초 수관 피해 양상을 통해 피해 원인을 추정할 수 있다. (2) 수목의 피해 유형(잎) 상당수의 생물적 원인에 의한 피해는 잎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병해의 경우, 병반이 잎에 있는 것.. 2023. 7. 2.
인위적피해 2-4. 생육 적지별 수종 식별 수목이 지역별로 사는 정도가 다른 이유는 온도 저항성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목이 사는 데 적절한 지역을 아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난대림 북위 35˚, 동해안 북위 36˚, 서해안 35˚, 수직 으로는 제주도 600m 이하, 완도 150m 이하 후피향나무, 녹나무 생달나무, 동백나무, 비쭈기나무, 돈나무, 붉가시나무, 가시나무, 감탕나무, 후박나무, 식나무, 구실잣밤나무, 모밀잣밤 나무 온대 남부 동부 북위 38˚, 중부 36˚, 서부 37˚, 약 85% 점유 개비자나무, 대나무, 곰솔, 산초나무, 사철나무, 굴피나무, 팽나무, 줄사철나무, 백동백, 단풍나무, 서어나무, 소나무, 오동나무 온대 중부 동해안 북위 40˚, 중부 38˚, 서해안 39˚ 때죽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향나무,.. 2023. 7. 1.
인위적피해 2-3. 생태학적 수종 식별 1. 수목과 온도 온도는 수분과 더불어 수종의 분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수목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 온도는 수종에 따라 다를 뿐 아니라, 동일 수종에서도 잎, 뿌리 등의 식물의 부위에 따라 또는 발아, 생장, 개화, 결실 등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개화 결실에는 더욱 높은 온도가 필요하다. 페퍼(Pfeffer, Wilhelm Friedrich Johannes)에 의하면 수목 생육에 대한 최적 온도는 24~34℃, 최고 온도는 36~46℃. 최저 온도는 0~16℃라고 하였다. 식재 수종을 선정하는 데는 내한성도 중요한 요건이 된다. 수목의 내한성은 수종에 따라 다를 뿐만 아니라 같은 종류 및 품종 간에도 차이를 나타낸다. (1) 한랭지에 적합한 수목의 예 계수나무, 고로쇠나무, 네군도단풍, 당단.. 2023. 6. 25.
인위적피해 2-2. 형태학적 수종 식별 1. 잎 잎은 광합성, 호흡, 증산 작용을 하는 기관으로서, 잎의 기본형은 잎자루(leaf petiole), 잎몸(leaf blade), 턱잎(stipule)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세 부분을 다 갖춘 잎을 완전잎(complete leaf)이라 하고, 한 부분이라도 결여된 것을 불완전잎(incomplete leaf)이라 한다. (1) 잎의 종류 (가) 단엽(simple leaf): 1개의 잎몸으로 된 것. (나) 복엽(compound leaf): 2개 이상의 잎몸으로 된 것. 복엽에는 우상 복엽(羽狀複葉), (다) 장상 복엽(掌狀複葉), 순상 복엽(楯狀複葉)의 세 종류가 있다. (2) 잎의 형태 (가) 우상엽(pinnate) - 피침형(lanceolate) - 도피침형(oblanceolate) - 타원형.. 2023. 6. 24.
인위적피해 1-2. 기상과 인위적 피해 및 대기, 토양 오염 1. 기상 피해 대책 1. 극한 고온과 저온에 의한 피해 (1) 기온이 높거나 낮은 경우, 직접적으로 수목과 접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차단제나 보호 시설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2) 여름철 기온이 높은 경우, 수분 부족과 함께 볕 데임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는데, 수피가 얇은 단풍나무 등에서 많이 나타난다. 그렇기 때문에 필요시 줄기에 햇볕으로부터 차단하기 위해 부직포나 종이테이프 등으로 감싸 주어야 한다. (3) 기온이 낮은 경우, 내한성이 낮은 배롱나무 등은 동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보온을 위해 수목의 줄기와 가지에 새끼, 부직포, 종이테이프 등을 감아 준다. 2. 멀칭 뿌리는 줄기보다 내한성이 낮은 경우가 많으므로 겨울철을 대비해 멀칭을 하는 경우가 있다. 더불어 여름철에는 토양의 수분 증발.. 2023. 6. 18.
인위적피해 1-1. 수목 식재 1. 복토 피해 진단 복토와 심식의 정의와 차이점 및 피해 기작에 대해 살펴본다. 1. 복토와 성토에 대한 기작 수목 주변에 흙을 덮는 행위를 복토 또는 성토라고 한다. 의미상 미약한 차이점은 있지만 수목에 피해를 주는 기작은 같다. 복토는 수목 뿌리의 기능(호흡, 흡수, 지지) 저하를 가져온다. 심식은 수목을 식재할 때 기존 분보다 깊이 심는 것을 말하며, 복토와 마찬가지로 수목의 뿌리 기능을 저하시킨다. (1) 복토를 하는 가장 많은 원인은 인위적인 시행을 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진다. (가) 택지 조성과 같은 대단위 토지를 조성할 때 (나) 건물을 건축할 경우에 주변과 레벨이 맞아야 할 때 (다) 토양이 유실된 경우에 보완을 위해서 (라) 뿌리의 지지 기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잘못된 경험 (2).. 2023. 6. 17.
환경장애피해 6-1. 피해특성 파악 및 복구대책 결정 1. 생물적 원인과 비생물적 원인 판별 수목에 피해를 주는 원인은 생물적인 원인과 비생물적인 원인이 있다. 피해 증상만으로 비생물적인 원인에 의해 수목에 피해가 나타났다는 것을 확인하는 일은 어렵지만 추정할 수 있는 증상이 있다. (1) 비생물적 원인에 의한 피해 확인 수목의 가지, 잎, 줄기, 뿌리에 나타난 병징, 표징을 토대로 비생물적 원인에 의한 피해임을 확인한다. 수관 전체적으로 나타나는 피해, 뚜렷한 표징이 보이지 않는 경우, 가해 해충의 피해 증상이 명확히 드러나는 것 등의 흔적으로 확인한다. (2) 피해량 확인 비생물적 원인에 의한 피해가 확인되면 가지, 잎, 줄기, 뿌리의 피해량이 정확히 조사되었는지 확인한다. 2. 피해지 입지환경 및 피해수목 특성 파악 1차 조사된 내용을 토대로 실내에서.. 2023. 6. 11.
환경장애피해 5-2. 부위별 피해량 조사 1. 가지 수목의 피해가 가지에 나타난 경우 피해량은 건전한 상태의 가지량을 기준으로 현재 가지량을 조사한다. 울폐도기를 이용하여 수관의 밀도를 측량한다. (1) 울폐도율 울폐도는 울폐도기에 나타나는 비율을 확인하는 방법이다. 오목형과 볼록형이 있는데 울폐도기에 나타난 비율을 계산하여 조사한다. 심, 중, 경 또는 %로 피해량을 조사할 수 있다. (2) 육안조사율 전체 살아있는 가지의 양과 가지의 고사율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조사한다. 심, 중, 경으로 조사할 수 있다. 2. 잎 잎에 나타난 피해량은 일정 가지의 피해잎 양을 전체 잎량으로 나눠 조사하는 방법이다. 심,중,경 또는 %로 조사할 수 있다. (1) 심, 중, 경 피해가 나타난 잎을 전체 잎으로 나눈다. 솔잎혹파리나 기타 다른 병해충의 잎 조사에.. 2023. 6. 10.
환경장애피해 5-1. 피해부위 조사 수목에서 나타나는 피해증상은 잎, 줄기, 가지, 뿌리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피해량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어떤 부위에 피해가 나타났는지를 확인하고 피해 유무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1) 수목의 피해부위 유형(가지) 가지에서 나타나는 피해유형은 가지고사이다. 어떤 가지가 죽었는지 살았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은 잘라보는 방법이다. 하지만 여름철에는 잎이 달려 있는 부분이 생존부위 잎이 달려 있지 않으면 고사한 분위로 판정을 할 수 있다. (2) 수목의 피해부위 유형(잎) 상당수의 생물적 원인에 의한 피해는 잎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병해의 경우 병반이 잎에 있는 경우가 많다. 또한 해충의 경우 가해습성별로 잎에 흔적을 남긴다. 식엽성은 잎을 갉아먹은 흔적을 나타내고, 흡즙성은 배설물 등을 남기는 특징이 있다.. 2023. 6. 6.
환경장애피해 4-4. 인문자연환경 조사 인문조사 1. 문헌조사 및 면담 수목의 유래나 최근 현황을 알 수 있는 자료가 있는지 확인 후 문헌조사를 한다. 최근에는 인터넷을 통해서도 가능하다. 그리고 나무에 대한 다양한 환경변화는 주민들과의 면담을 통해 조사한다. (1) 문헌자료 식재시기나 관리에 내한 내용은 해당 관청에 일부 자료가 남아있다. 협조를 받아 자료를 취득후 분석하는 방법이 있으며, 해당 면이나 시·군의 역사 자료를 참고하면 도움이 된다. 기타 관련문헌을 수소문해 찾아보면 피해원인을 밝히는데 도움이 된다. 최근에는 인터넷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가 많으므로 자료를 확보하도록 한다. (2) 면담 수목의 유래 및 이상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 시점 등과 관리 이력은 소유자가 가장 잘 알고 있다. 따라서 가장 많이 봐 온 사람을 대상으로 .. 2023. 6. 5.
환경장애피해 4-3. 토양원인 조사 토양에 의한 피해원인 증상 토양에 의한 수목 피해는 일반적으로 수목 전체에 나타난다. 토양오염이나 과습, 교란 등은 잎 크기가 작아지거나 잎끝이 말라 타들어가는 증상을 보인다. (1) 토양오염 토양오염의 대표적인 경우는 제초제와 염화칼슘이다. 제초제는 비선택성을 사용하는 경우 많이 나타나는데, 호르몬 계열의 경우 잎이 비대생장 또는 과대생장이 피해증상으로 나타난다. 그 정도가 더 강해지면 수목이 고사하기도 한다. 조사하는 방법으로는 잎에 나타난 피해증상(병징)으로 확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토양분석 등에 의한 조사는 시행해 주는 기관이 거의 없기 때문에 조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염화칼슘에 의한 피해는 잎끝이 타들어가는 증상과 토양 pH로 확인할 수 있다. 피해가 나타나는 장소가 겨울철 내린 눈을 쌓아두.. 2023. 6. 4.
환경장애피해 4-2. 생리적 원인 조사 1. 온도 및 햇빛 수목은 생육온도에 따라 생육정도에 차이가 있다. 심한 경우 온도차이로 고사할 수도 있다. (1) 한랭지에 적합한 수종 계수나무, 고로쇠나무, 네군도단풍, 당단풍, 독일가문비, 목련, 서양측백, 산벚나무, 아카시아, 은단풍, 은행나무, 일본잎갈나무, 자작나무, 잣나무, 젓나무, 주목, 포플라, 버즘나무, 피나무, 매자나무, 박태기나무, 산철쭉, 수수꽃다리, 오갈피나무, 쥐똥나무, 진달래, 철쭉, 해당화, 화살나무 등 (2) 온난지에 적합한 수종 가시나무, 굴거리나무, 녹나무, 담팔수, 동백나무, 붉가시나무, 자귀나무, 후박나무, 돈나무, 유엽도 등 (3) 양수 일본잎갈나무, 자작나무, 은행나무, 대왕송, 메타세쿼이어, 삼나무, 소나무, 향나무, 가중나무, 벚나무, 잎바나무, 모과나무, .. 2023.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