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위적피해 2-4. 생육 적지별 수종 식별
수목이 지역별로 사는 정도가 다른 이유는 온도 저항성에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목이 사는 데 적절한 지역을 아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난대림 북위 35˚, 동해안 북위 36˚, 서해안 35˚, 수직 으로는 제주도 600m 이하, 완도 150m 이하 후피향나무, 녹나무 생달나무, 동백나무, 비쭈기나무, 돈나무, 붉가시나무, 가시나무, 감탕나무, 후박나무, 식나무, 구실잣밤나무, 모밀잣밤 나무 온대 남부 동부 북위 38˚, 중부 36˚, 서부 37˚, 약 85% 점유 개비자나무, 대나무, 곰솔, 산초나무, 사철나무, 굴피나무, 팽나무, 줄사철나무, 백동백, 단풍나무, 서어나무, 소나무, 오동나무 온대 중부 동해안 북위 40˚, 중부 38˚, 서해안 39˚ 때죽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향나무,..
2023. 7. 1.
인위적피해 2-3. 생태학적 수종 식별
1. 수목과 온도 온도는 수분과 더불어 수종의 분포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수목의 생육에 필요한 최적 온도는 수종에 따라 다를 뿐 아니라, 동일 수종에서도 잎, 뿌리 등의 식물의 부위에 따라 또는 발아, 생장, 개화, 결실 등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개화 결실에는 더욱 높은 온도가 필요하다. 페퍼(Pfeffer, Wilhelm Friedrich Johannes)에 의하면 수목 생육에 대한 최적 온도는 24~34℃, 최고 온도는 36~46℃. 최저 온도는 0~16℃라고 하였다. 식재 수종을 선정하는 데는 내한성도 중요한 요건이 된다. 수목의 내한성은 수종에 따라 다를 뿐만 아니라 같은 종류 및 품종 간에도 차이를 나타낸다. (1) 한랭지에 적합한 수목의 예 계수나무, 고로쇠나무, 네군도단풍, 당단..
2023. 6. 25.
환경장애피해 4-2. 생리적 원인 조사
1. 온도 및 햇빛 수목은 생육온도에 따라 생육정도에 차이가 있다. 심한 경우 온도차이로 고사할 수도 있다. (1) 한랭지에 적합한 수종 계수나무, 고로쇠나무, 네군도단풍, 당단풍, 독일가문비, 목련, 서양측백, 산벚나무, 아카시아, 은단풍, 은행나무, 일본잎갈나무, 자작나무, 잣나무, 젓나무, 주목, 포플라, 버즘나무, 피나무, 매자나무, 박태기나무, 산철쭉, 수수꽃다리, 오갈피나무, 쥐똥나무, 진달래, 철쭉, 해당화, 화살나무 등 (2) 온난지에 적합한 수종 가시나무, 굴거리나무, 녹나무, 담팔수, 동백나무, 붉가시나무, 자귀나무, 후박나무, 돈나무, 유엽도 등 (3) 양수 일본잎갈나무, 자작나무, 은행나무, 대왕송, 메타세쿼이어, 삼나무, 소나무, 향나무, 가중나무, 벚나무, 잎바나무, 모과나무, ..
2023. 5.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