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fety Story/2025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안전보호구와 안전보건표지 바로 알기

by Daniel & Ergo 2025. 8. 6.

 

○ 안전보건표지의 종류
- 금지표지, 경고포지, 지시표지, 안내표지

○ 안전보건표지의 설치에 관한 사항
- 근로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장소에 설치ㆍ부착한다. 
- 흔들리거나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설치ㆍ부착해야 한다. 
- 성질상 설치하거나 부착하는것이 곤란한 경우에는 해당물체에 직접 도색할 수 있다.

○ 안전보건표지 속의 그림 또는 부호의 크기는 전체규격대비 30% 이상이 되어야 한다. 

○ 안전보건표지 중 안내표지
- 녹십자표지, 응급구호표지, 들것 등

○ 안전보건표지 준수사항
- 작업장 내 조건이나 상태에 따라 적정하게 설치한다. 
- 임의로 가리거나 제거해서는 안된다. 
- 눈에 잘 띄는 위치에 설치한다. 

○ 보호구의 선택 단계별에 대한 설명
- 보호구의 선택 단계는 다음과 같다. 
- 1. 작업장의 유해∙위험요소 분석: 가스, 분진, 화학물질, 소음, 유해광선, 정전기, 고압전기, 고열 등
- 2. 작업장의 유해∙위험요소의 수준 파악: 안전보건관리자나 관라김독자가 측정
- 3. 보호구의 사용빈도에 따른 선택

○ 안전인증대상 보호구(12종) 종류
- 안전인증대상 보호구(12종)는 다음과 같다. 
- 안전모(추락 및 감전위험 방지용), 안전화, 안전장갑, 방진마스크, 방독마스크, 송기마스크, 전동식 호흡보호구, 보호복, 안전대, 보안경(차광 및 비산물 위험방지용), 보안면(용접용), 방음용 귀마개 또는 귀덮개이다. 

○ 안전화의 사용방법 및 관리
- 정전화는 감전 위험장소에서 착용하지 않는다. 정전기 안전화는 떨어지는 물체에 맞거나 부딪히거나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지 않도록 발을 보호하고 정전기의 인체대전을 방지한다. 

○ 안전대의 사용방법 및 관리
- 안전대 걸이(부착설비 등)을 설치한다. 
- 안전대 설치 구조물은 벨트보다 조금 높은 곳에 두도록 한다. 
- 작업 시작 전 안전대 및 부속설비를 점검한다.

○ 보안면의 사용방법 및 관리
- 작업에 맞는 보안경인지 확인한다. 
- 안전인증을 받은 것인지 확인한다. 
- 사용 중 렌즈에 깨짐, 부식 등 이상이 발견되면 즉시 교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