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열질환이란?
- 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질환
- 온열질환 중에 열사병이 가장 위험
❍ 열사병의 응급조치 방법
- 환자를 시원한 장소로 옮김
- 환자의 옷을 느슨하게 함
- 환자의 몸에 시원한 물을 적셔 부채 등으로 식힘
- 의식이 없는 환자에게 음료를 마시도록 하면 질식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절대 금지
❍ 열탈진의 주요 증상과 응급조치 방법
- 땀을 많이 흘리고 메스꺼움, 구토, 현기증, 두통 등이 나타남
- 찬물로 목욕하는 것이 도움이 됨
- 이온 음료가 도움은 될 수 있으나 과당함량이 높은 경우가 있으니 주의
- 증상이 악화되거나 1시간 이상 지속되면 의료기관에 내원하여 진료
❍ 열경련의 주요증상과 응급조치 방법
- 고온 환경에서 강한 노동이나 운동을 할 경우 발생
- 종아리, 허벅지, 어깨 등에 근육 경련
- 신체활동을 중단하고 시원한 곳에서 휴식하고, 경련이 멈추어도 바로 다시 일을 시작하지 않고 근육부위를 충분히 마사지하고 휴식을 취해야 함
- 경련이 일어난 근육을 마사지
❍ 폭염 시 근로자가 준수해야 할 사항
- 커피나 탄산음료는 이뇨작용으로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과용하면 안 됨
- 헐렁하고 시원한 옷 착용
- 땀을 많이 흘렸을 경우에는 이온음료 음용
- 폭염 특보를 수시로 확인
❍ 폭염 온열질환에 대한 안전조치
- 시원하고 깨끗한 물 제공
- 휴게장소 또는 현장 여건을 고려한 그늘 제공
- 무더운 시간대에 자주 쉴 수 있도록 휴식 제공
- 무더위 시간대에는 옥외작업 단축 또는 작업시간대 조정
❍ 집중호우 시 안전대책
- 장마철 이전에 수해방지대책 수립하여 시행
- 비상용 수해방지 자재 및 장비를 미리 확보하여 비치
- 비상대기반 편성하여 운영
- 지하매설물 현황파악 및 관련기관과 공조체계 유지
❍ 장마철 감전재해 안전대책
- 임시 수전설비는 침수되지 않는 안전한 장소에 설치
- 임시 분전반은 비에 맞지 않는 장소에 설치
- 전기기계 기구는 젖은 손으로 취급하지 않기
- 이동형 전기기계 기구는 사용 전 절연상태를 점검
❍ 밀폐공간 작업 시 착용해야 하는 보호구
- 공기호흡기, 송기마스크
- 안전대, 보호가드
- 구조용 삼각대
❍ 밀폐공간 작업 시 조치 방법
- 감시인 배치
- 작업 공간에 입장 및 퇴장 시 인원 점검
- 관계 근로자 외 출입 금지시키고 출입 금지 표시 게시
'Safety Story > 2025'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중대재해처벌법 (1) | 2025.08.01 |
---|---|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출퇴근 재해예방 및 질병관리 (2) | 2025.07.31 |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감정노동의 관리 방안 (4) | 2025.07.30 |
2025년 하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아차사고 예방 (2) | 2025.07.29 |
2025년 상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중량물 취급안전작업 (2) | 2025.02.28 |
2025년 상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정리정돈 및 작업 전 점검 (0) | 2025.02.27 |
2025년 상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인간에 대한 이해와 휴먼에러 예방법 (0) | 2025.02.26 |
2025년 상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 위험성평가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