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화훼재배66

화훼전처리 2-3. 예냉 및 저장 1. 물올림 및 예냉 1. 물올림 절화는 수확 후 바로 물올림을 실시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선도유지를 위한 물질을 절화에 흡수시켜 신선도를 연장시킬 수 있다(그림 2-5). 2. 예냉 예비 냉장하여 수확 시 절화가 가진 식물체의 온도를 낮추어 수확 후 호흡, 증산, 효소작용 등을 억제시켜 주는 과정을 예냉이라 한다. 수확 직후의 절화는 식물체의 온도가 높고, 많은 양을 저장할 때에는 식물체의 호흡열로 인해 신선도가 떨어지며 바로 부패하기도 한다. 미국에서는 원예농산물을 예냉, 저장, 수송하는 저온유통체계(cold chain system)가 잘 발달되어 실용화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최근에 와서 실용적 단계에 이르고 있으며 예냉시설이 설치되어 있다. 예냉방식으로는 강제통풍식, 차압통풍식, 진공식, 냉수냉각.. 2022. 6. 5.
화훼전처리 2-2. 절화보존제 절화보존제 절화의 노화를 지연시키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약제를 절화보존제(floral preservative)라 하며, 선도유지제, 연명제, 수명연장제, 품질유지제 등 여러 가지 명칭으로 불리어지고 있다. 절화보존제는 처리시기 및 목적에 따라 그 구성성분과 농도 및 처리방법이 달라진다. 처리시기별로 절화보존제를 구분하면 생산자가 수확 후 출하 전에 단시간 처리하는 것을 전처리제(pretreatment solution)라고 하고, 소매상이나 소비자가 판매 또는 관상기간 동안 절화의 침지용액으로 이용되는 것을 후처리제(continuous preservative solution)라고 한다. 1. 절화보존제 구성 성분 일반적으로 절화보존제는 흡수량 증진과 수분균형의 개선, 미생물 발생억제, 호흡기질의 공급, 에틸.. 2022. 6. 1.
화훼전처리 2-1. 전처리 방법 절화 후 그대로 두면 바로 시들거나 수명이 짧아지기 때문에 전처리를 한다. 생산자가 수확 후 출하전에 단시간 처리하는 것을 전처리라고 한다. 절화의 물올림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수중절단법, 탄화처리법, 열탕처리법, 온수침지법, 약제처리법 등이 있다(표 2-1). 그러나 이러한 처리는 절화의 종류 및 품종에 따라 효과가 차이가 난다. 수중절단법은 줄기 기부를 물에 넣고 물속에서 재절단하는 수중절단법을 사용하며 이러한 방법은 모든 화훼류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수명연장 방법이다. 공기 중에서 절화의 줄기를 자르면 도관에 공기가 들어가서 물에 꽂아도 이 기포로 인하여 물이 줄기로 빨려 올라가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때에는 줄기를 물속에서 재절단함으로써 기포가 있는 부분을 잘라버리고 도관의 상승수주.. 2022. 5. 29.
화훼수확 1-2. 채화 및 절단 방법 1. 채화지점 및 절단방법 절화류의 채화지점은 다음 표 1-4, 그림 1-6과 같다. 절화의 종류와 재배방법에 따라 절단도구나 절단방법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목본성 식물은 잘드는 가위나 칼로 절단하여 절단면이 뭉그러지지 않도록 한다. 절단면이 뭉그러지면 흡수력이 저하되고 당분을 함유한 수액이 물에 용해되어 박테리아 증식을 촉진하여 유관속폐쇄를 일으키기 쉽다. 절화는 줄기를 가능하면 길게 하기 위해 보통 지면 가까이에서 절단하는 경우가 많은데, 경화된 줄기는 수분흡수가 불량하여 수명을 단축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약간 위쪽의 덜 경화된 부분에서 절단하는 것이 좋다. 2. 절단도구 절화류 수확에는 가위 및 칼이 사용된다[그림 1-8]. 장미의 경우에는 수확을 하면서 줄기를 지지할 수 있는 가위를 사용하기도 .. 2022. 5. 22.
화훼수확 1-1. 수확 적기 수확적기 절화 종류별 수확적기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에서 정한 농산물 표준규격에 따른다. 등급 규격에서 특, 상을 맞추기 위해서는 개화정도, 결점, 꽃색, 줄기 세력 등을 세심하게 보아 수확하여야 한다. 수확 시간은 절화 후 수분이 급격히 손실되는 경우에는 아침에 수확하는 것이 좋으며, 고온 및 고광도에서의 수확은 피하는 것이 좋다. 수확량이 많아 아침 수확이 어려울 때는 수확 후 바로 물에 담가 저온 저장고로 이동하여 시드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그림 1-1] 수행 내용 / 수확적기 결정하기 1. 수확적기를 결정하기 위한 계획서를 작성한다.1 1. 국내 화훼류 표준 규격 확인한다. 국내 유통 화훼류는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농산물 표준규격의 등급규격에서 제시되는 기준을 검색할 수 있다. 2. 품질 상태 진.. 2022. 5. 15.
생장 조절제 이용하기 3-2. 생장 조절제 처리방법 생장조절제 처리 방법 1. 분무기 처리(spray) 액체를 분무기를 넣어 살포하는 방법으로, 전면에 골고루 뿌리기도 하지만 생장점 부근에 살포하면 효과가 더 잘 나타난다. 주로 화분상태에 원하는 크기가 정해질 때 살포 한다. 바로 상품화가 가능하다. 2. 침지처리(soaking, immersion dipping) 처리할 재료를 생장조절제에 담갔다가 꺼내어 그늘에서 표면을 건조 시킨 후 처리하는 방법으로 주로 삽목번식에 많이 사용한다. 3. 도포처리 지베렐린이나 톱신테스트 등 농약을 페인트 같이 만들어 발라 주는 방법 4. 분의처리 카네이션의 발근촉진을 위해 삽수의 기부에 가루를 처리한다. 삽수의 밑 부분을 3cm 정도 물에 담갔다가 약제가루를 묻혀 심는다. 수행 내용 / 생장조절제 처리하기 1. 생장조절.. 2022. 5. 8.
생장 조절제 이용하기 3-1. 생장 조절제 종류 1. 생장조절제의 정의 화훼 작물의 재배 시 개화시기를 촉진시키거나 억제시킬 경우, 일차적으로 환경을 조절함으로써 개화시기를 조절하는데, 그것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울 경우 생장 조절제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휴면 종자가 발아한 후 자라서 개화, 결실 그리고 고사하기 까지 식물의 모든 생장과 발육을 조절하는 물질을 식물호르몬 (phytohormone)이라고 하는데, 현재까지 명확히 알려져 있는 식물호르몬은 옥신(auxin), 지베렐린(gibberellin, GA), 시토키닌(cytokinin), 아브시스산(abscisic aci, ABA), 에틸렌(ethylene) 등이다. 이러한 다섯가지 호르몬에 대해서는 식물체 내 합성 기작뿐만 아니라 그 역할에 대해서도 잘 알려져 있다. 호르몬은 생장이 활발한 줄.. 2022. 5. 1.
온도조절하기 2-1. 온도처리 1. 온도조절에 의한 개화조절 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화아분화와 개화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에 차이가 있는데, 특히 온대산식물과 열대산식물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온대산식물은 개화하기 위해서는 한동안 낮은 온도에서 자라야 하고 반대로 열대산 식물은 높은 온도에서 자라야 한다. 온대산 식물은 대개 1년을 1주기로 하여 잎과 줄기만 자라는 영양생장과 꽃이 피고 열매가 열리는 생식생장 및 잠시 낙엽하고 쇠퇴하여 휴면하는 시기가 되풀이 된다. 그러나 열대산식물은 항상 생육하며 휴면을 거의 하지 않는다. 다만 우기와 건조기의 구별이 있는 곳에서 자라는 식물은 그 때 휴면하는 경우도 있다. 1. 휴면과 로제트 한대나 온대 지방이 원산지인 일·이년초나 숙근초, 열대나 아열대가 원산지인 구근류, 화목류 중에는 생육 도중 .. 2022. 3. 31.
일장조절하기 1-2. 암막처리 암막처리(차광재배) 암막처리(차광재배)는 주로 자연 일장이 긴 계절에 단일성 식물의 화아를 형성시켜 개화를 촉진시킬 때 사용한다. 현재 국화, 포인세티아, 칼랑코에 등이 차광 재배를 통하여 촉성 재배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것은 가을 국화의 촉성 재배이다. 한편, 장일성 식물의 개화를 지연시킬 때 차광하여 단일 처리하는 경우는 개화기가 8월인 에크메아를 4월부터 단일 처리해서 개화를 억제시키는 것 외에는 거의 없다. 수행 내용 1 / 암막 설치 하기 1. 먼저 하우스의 규격에 맞는 암막을 준비 한다. 치마, 출입구, 출입문, 너비부분, 전체 부분를 여유 있게 측정해서 준비한다. 2. 치마부분을 스프링으로 고정한다. 3. 비닐의 남은 부분은 흙으로 덮는다. 4. 하우스 중앙천정밖에 패드를 설치 한다. .. 2022. 3. 31.
일장조절하기 1-1. 전조처리 1. 작물의 개화 화훼 작물의 생장과 발육은 동물들과는 달리 토양, 수분, 양분, 온도, 그리고 빛 등과 같은 환경에 결정적인 영항을 받기 때문에, 부적절한 환경 하에서는 개화 하지 않고 단지 영양 생장만 지속한다. 따라서 노지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화훼 작물은 그 종류와 재배 지역에 따라 특정한 시기에만 개화를 반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것은 화훼 작물이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게 감응하여 스스로의 생장과 발육을 조절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화(開花, flowering)란 식물이 일정 기간의 영양 생장을 마치고 번식을 위해 생식 생장으로 전환하는 단계로서, 개화에는 충분한 영양 생장과 여러 가지 환경 요인들이 관여한다. 화훼 작물의 개화에는 환경 요인 중 온도와 일장이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2022. 3. 13.
화훼 친환경 병해충 방제 4-1. 친환경 방제하기 1. 병해충 친환경 방제란 무엇인가? 화훼작물에 발생하는 병이나 해충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 다양하게 시도되는 방법 중 기존의 농약사용을 최소화하여 방제하는 방법을 말한다. 2. 다양한 친환경 방제법을 이해한다. 1. 유용생물을 이용해 방제하기 (1) 미생물제제를 이용해 방제하기 미생물을 이용한 방제는 병원체나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곰팡이, 세균, 바이러스 등 유용한 미생물을 대량으로 증식하여 살포하는 방법이다. (2) 천적을 이용해 방제하기 주로 해충을 방제하기 위해 천적곤충을 이용해 해충을 방제하고 있으며, 해충의 밀도가 낮을 때에는 천적 스스로가 먹이를 찾아서 활동하기 때문에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해충의 밀도가 높을 경우 살충제에 비해 방제효과가 낮은 단점이 있다. 화훼작물에서는 응애, 가루이.. 2022. 2. 5.
화훼병해충방제 3-1. 농약 종류 선택 1. 농약이란 무엇인가? 1. 농약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농약이라 함은 수목 및 농·임산물을 포함한 모든 농작물을 해(害)하는 균, 곤충, 응애, 선충, 바이러스, 잡초, 기타 농림부령이 정하는 동·식물의 방제에 사용하는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 기타 농림부령이 정하는 약제와 농작물의 생리기능을 증진하거나 억제하는데 사용하는 약제를 말한다. 2. 사용목적에 따른 농약의 분류 (1) 살균제 식물의 병원균을 방제하는 농약이며 병원균이 식물체 내에 침입하는 것을 예방하는 것을 보호살균제, 침입한 병원균을 죽이는 농약을 직접살균제로 나누기도 한다. 현재 사용되는 살균제의 대부분은 보호와 직접살균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2) 살충제 식물의 해충을 방제하는 농약의 총칭이며 곤충류가 주류를 이룬다. 곤.. 2022. 2.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