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원희46

[터키] 마가 요한이 돌아간 버가 (Perge) 터키 남쪽 해안가에 위치한 성서의 도시들 중 하나인 버가로 가기 위해서 이스탄불에서 국내선 항공을 이용해 앗달리아로 간 후 다시 버가로 향했다. 버가(Perga)는 세스트루스(Cestrus·현재 아쿠스강) 강구에서 13㎞ 내륙의 평원에 위치한 소아시아의 남부 밤빌리아 지역에 있는 고대도시 중의 하나로 현재는 무르타나(Murtana)로 불린다. 버가는 앗달리아 시내에서 30㎞가 채 되지 않아 30여분만에 도착했다. 바울은 제1차 전도여행 때 왕복 2회에 걸쳐 이 땅을 통과하였다(행 13:13,14:24∼25). 이 성은 토착민의 요소가 강하며 비옥한 토지는 아니었다. 바울과 바나바의 전도여행에 동행하던 마가 요한은 너무 힘든 나머지 이곳에서 그들과 헤어져 예루살렘으로 귀환하고 말았다. 이 일은 2차 전도.. 2011. 6. 17.
[터키] 복음역사 일어난 에베소  성경의 도시 에베소는 소아시아의 7개 교회 중 가장 큰 규모의 유적이 있는 오늘날 터키의 에페수스이다. 에게해안에서 5㎞쯤 들어간 카이스터 강구에 있는 이곳은 터키의 이스탄불에서 자동차로는 하루거리이기 때문에 대개 이스탄불에서 이즈미르(성경의 서머나)까지 비행기를 이용하고 이즈미르에서 버스를 이용한다. 이즈미르에서 에베소까지는 남쪽으로 1시간 정도면 여유 있게 갈 수 있다. 에베소는 터키의 유적지 가운데 규모가 가장 커서 하루 일정을 잡아도 충분하지 않다. 고대 에베소 지역 뿐만 아니라 주위의 유적 역시 많이 있는데 그중에 고대 유적이 있는 곳을 방문하려면 높은 곳에 있는 입구에서 아래쪽에 있는 입구로 코스를 잡아야 힘들지 않다. 일반 여행객들에게 볼거리가 많은 곳이기도 하지만 특히 기독교인들에게는.. 2011. 6. 17.
[그리스] 바울이 머리를 깍은 곳 겐그레아 “바울은 더 여러 날 유하다가 형제들을 작별하고 배 타고 수리아로 떠나갈 새 브리스길라와 아굴라도 함께 하더라 바울이 일찍 서원이 있으므로 겐그레아에서 머리를 깎았더라”(행 18:18) 바울이 머리를 깎았다고 하는 겐그레아로 가기 위해 고린도에서 동남쪽으로 10㎞쯤 떨어진 곳의 그리스 남쪽 사론만에 있는 옛 겐그레아 항구터를 향해 차를 몰았다. 스트라보는 겐그레아가 고린도에서부터 약 10㎞ 떨어진 곳에 소재한 항구로 동쪽에 고린도인들의 해군기지가 있었으며 아시아 무역항이었다고 기록돼 있다. 고린도에서 그리 멀지 않은 이곳에 도착한 것은 한 여름 뜨거운 햇볕이 내리쬐던 때였다. 성서의 겐그레아는 오늘날 케크리아이스(Kechriais)라고 부르는 현대 마을은 폐허지 근방에 있다. 파우사니아스는 이 항구의 .. 2010. 9. 9.
[레바논] 베니게지역 교통 요충지 두로 두로(티레·Tyre)는 예루살렘 서북쪽 약 226㎞ 지점,악고 북쪽 약 45㎞ 지점,레바논의 시돈에서는 남쪽으로 약 40㎞ 떨어진 곳에 있는 항구도시이다. 오늘날 이스라엘 국경에서는 불과 20㎞도 되지 않는 짧은 거리이지만 이스라엘에서 레바논으로 넘어가는 국경이 없어 레바논의 베이루트를 거치거나 요르단을 통해 들어가야만 한다. 나는 항공편으로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에 도착하여 하루를 묵은 후 지중해 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갔다. 40㎞쯤 달리자 시돈이 나타났고 다시 5㎞쯤 달려가자 내륙쪽으로 막두세의 만타라 동굴이 있는 산위에 세워진 성당이 보였다. 현지에서 전해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그곳은 예수께서 수로보니게(두로와 시돈 지역) 지역을 방문하여 한 여인의 귀신 들린 어린 딸을 고쳐 주셨는데(막 7:24∼3.. 2010. 7. 27.
[레바논] 그발(오늘날 비블로스) 현재 비블로스라고 불리는 그발(Gebal·수13:5,왕상5:18)은 성경에 여호수아가 정복하지 못한 땅으로 언급되고 있다. 이곳은 시돈과 두로(티레)와 함께 베니게(페니키아)의 3대 도시국가 중 하나였다. 레바논의 수도 베이루트 북쪽 40㎞ 지점의 지중해변에 있는 도시로 지금은 레바네세 마을과 인접해 있다. 지베일로 불리는 이곳은 바벨론 당시에는 구블라(Gubla)로 알려졌고 그리스인들은 종이 원료인 파피루스를 많이 수출하는 곳이라고 해서 그리스어로 종이 혹은 책을 뜻하는 비블리온이라고 불렀다. 후에 비블리온이란 말은 책 중의 책을 의미하는 바이블이라는 단어로 바뀌게 되었다. 베이루트에서 출발하여 그발로 가다보면 칼브(Kalb) 강을 지나게 되는데 뜻이 개 강(Dog River)이다. 그러나 강이라기보.. 2010. 7. 27.
[시리아] 시리아 공화국 수도 다메섹 = 다마스커스 사울은 기독교인들을 잡기 위해 예루살렘에서 대제사장의 공문을 받아들고 다메섹으로 가다가 부활한 예수를 만난다. 그리고 다메섹에 도착하여 아나니아에게 안수를 받아 위대한 복음 전도자인 바울이 되었다(행 9:1∼19). 다메섹(다마스쿠스)은 오늘날 시리아 공화국의 수도이다. 오늘날은 이스라엘과 시리아는 중동지역 다른 어떤 나라보다 관계가 나빠 이스라엘 비자가 찍힌 여권을 가지고는 시리아에 들어갈 수 없다. 그래서 나도 여권을 재발급 받아 출국하여 요르단의 암만에서 시리아의 국경도시 다라로 갔다. 성경에서 에드레이로 나오는 다라는 출애굽한 이스라엘이 요단 강 동편에 도착하여 헤스본 왕 시혼을 물리친 후 바산 왕 옥과 전투를 벌여 가나안 입주 전에 점령한 곳이다(민 21:33∼35). 다라에서의 입국 절차는 .. 2010. 7. 25.
[이탈리아] 로마와 서바나 바울은 로마에 복음 전파를 간절히 원했고 하나님은 그런 바울을 죄인의 몸으로 로마로 입성케 했다. 그리고 더욱 간절히 가기 원했던 서바나는 결국 가지 못한 채 로마의 아피아 가도에서 목이 잘려 순교했다. 로마는 나라 이름은 물론 수도 이름도 된다. 도시로서의 로마는 현재 이탈리아의 수도이며 옛 이베리아 반도의 중앙에 있던 로마 제국의 수도이다. 제국으로의 로마는 예수님 당시에 동으로는 유프라테스 강,서로는 라인 강,남으로는 지중해,북으로는 동부 유럽에 미치는 광대한 영토를 소유하였다. 전성기에는 유럽 대륙을 대부분 석권하였으며 아프리카와 아시아까지 세력을 확장한 때도 있었다. BC 735년에 늑대의 젖을 먹고 자란 쌍둥이의 한 사람인 로물루스가 건국하였다는 전설로 출발한 고대 로마는 세계를 지배했다. .. 2010. 4. 28.
[터키] 결심의 항구 드로아 앗소  앗소(Assos)는 오늘날 터키 서쪽 안드라미티움 (Andramyttium)만에 있는 드로아 남쪽의 항구도시다. 이스탄불에서 이곳에 가려면 자동차로 이틀을 달려가야 한다. 나는 모처럼 아들과 함께 9인승 밴을 이용해 드로아와 앗소를 찾아보기로 했다. 이스탄불은 수도는 아니지만 터키에서 가장 큰 도시. 이스탄불은 보스포러스 해협을 사이에 두고 유럽과 아시아 두 대륙으로 나누어져 있다. 유럽쪽의 이스탄불에서 출발한 차는 마르마라(Marmara) 해협을 끼고 서남쪽으로 달렸다. 왼쪽으로 펼쳐지는 해협을 보며 3시간30분 동안 280㎞를 달려가자 터키 본토로 넘어가는 마르마라 해협의 맨 끝에 도착했다. 에세아바트(Eceabat)에서 자동차를 배에 싣고 본토에 도착한 후 다시 남쪽으로 75㎞를 달려 앗소에.. 2010. 4. 28.
[터키] 바울의 로마 행 - 무라 바다라 니도 전날 버가를 답사한 후 앗달리아에서 하루를 묵은 후 해안가에 있는 바울의 전도 여행지인 무라(Myra)와 바다라(Patara)를 향해 차를 몰았다. 무라는 앗달리아에서 120㎞ 정도 떨어져 있지만 해안가를 따라 뻗어있는 길은 굴곡이 심한데다 초행길이라 빨리 달릴 수 없었다. 더구나 북쪽으로 펼쳐진 고산지대와 어우러진 바닷가의 풍경이 매우 아름다워 한시도 눈을 떼지 못하게 했다. 결국 3시간이 걸려서 무라에 도착했다. 무라는 소아시아 남루기아도에 있는 지중해의 항구도시이다. 루기아 도시연맹의 6대 도시 중 하나로 본성은 바다로부터 4㎞ 가량 떨어진 안드라쿠스 강변에 위치했었다. 지명의 뜻은 몰약,불사르다이다. 무라에 들어서자마자 바위를 깎아 만든 무덤들이 이곳의 특징을 한눈에 보여주었다. 고대 중동지역에.. 2010. 4. 28.
[요르단] 요르단 오지의 성읍들 오늘날 요르단 지역에 있는 성경의 도시들은 이스라엘 다음으로 많다. 성경에 언급된 도시는 대체로 480곳 이상으로 이스라엘에 절반이 넘는 264여 곳이 있으며 다음으로 요르단에 67여곳이 있어 두번째로 많다. 그리고 이집트 35여곳,그리스 시리아 레바논과 기타 지역 순으로 소재해 있다. 지금까지 ‘성서속 도시 이야기’를 통해 현대 국가별로 비교적 생소한 도시들을 소개했다. 이번에는 본인이 답사한,요르단 지역의 생소한 도시들을 사진 중심으로 소개하고자 한다. 도피성 중의 하나인 길르앗 라못 이곳은 다메섹 남쪽 약 112㎞ 지점,오늘날 이르비드 동쪽 약 24㎞쯤 되는 곳에 있다. 라못 길르앗으로 부르기도 하는 이곳은 요단강 동쪽에 있던 베셀,바산 골란과 함께 도피성(逃避城) 중 하나이다(신 4:43,수20.. 2010. 4. 28.
[이집트] 돕가 및 르비딤 애굽에서 탈출한 이스라엘 민족의 시내산까지의 여정은 대부분 고대 광산길이었다. 이 광산 중 하나가 오늘날 세라비트 엘 하팀(Serabit el Hatim·Serabit E Khadim)이라 불리는 성경의 돕가(Dophkah)이다. 엄밀히 말하면 이스라엘 민족이 걸어간 길은 돕가 광산 아래의 와디였다. 돕가에 가기 위해서는 시내산에서 서북쪽 지역으로 와디를 따라 가야 하기 때문에 나는 시내산에서 현지 안내인을 찾았다. 다행히 돕가에 가는 길을 잘 아는 형제를 만나 안내를 받았다. 일정을 마친 후 생각해보니 이들을 만난 것은 하나님의 큰 은혜였다. 나는 일행과 이들 형제의 지프를 대여했다. 원래 사막길은 고장에 대비해 차량 2대를 빌려야 했지만 우리는 경비를 절감하기 위해 1대로 가기로 했다. 엘림을 떠난.. 2010. 4. 28.
[이집트] 출애굽 여정지 마라 - 엘림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의 기적으로 건넜다는 홍해(오늘날 이스마일리아 앞 빅터 호숫가)에서 역사적인 하룻밤을 보낸 나는 수에즈 운하 밑으로 건설된 지하 터널을 통해 홍해를 건넜다. 당시 이집트에서 가나안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은 지중해안을 따라가는 블레셋 길이었으나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훈련시키기 위해 홍해 광야길로 인도하셨다(출 13:17). 홍해를 건넌 이스라엘은 에담(수르) 광야길을 통해 사흘동안 행군했으나 물을 얻지 못하고 마라에 도착해서도 물이 써서 마시지 못했다(출 15:22∼25). 그러나 나는 자동차로 40여분만에 도착했다. 마라(Marah)는 홍해(수에즈 해저 터널)에서 30㎞ 지점에 소재하는데 오늘날 성경학자들은 옛날의 마라 지역이 오늘의 아윤 무사(Ayun Musa)라고 추측하고 있다... 2010.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