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161 [터키] 하란 아브라함의 고향 2015. 6. 29. [요르단] 베다니 요단강 예수님 세례터 요르단 베다니 요단강 예수님 세례터 베다니아는 그리스어식 지명으로 어원은 히브리어 '베트 아니(가난한 자의 집)' 또는 '베트 아나니야(아나니야의 집)'에서 파생된 것이다. 전자의 어원은 나병환자들이 격리되어 예루살렘 동편마을에 함께 살았다는 문헌과 상응하고 후자 역시 베냐민 지파들이 '아냐니아'에서 살았다는 것과 일치한다. 이곳은 현재 아랍 사람들이 살고 있는 예루살렘 부근의 '엘 아자리예(el azarije)'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복음서에 따르면 베다니아는 예수와 절친하게 지냈던 마리아와 마르타 그리고 라자로의 집이 있었던 곳이고 예수와 제자들이 그들을 방문하여 정담을 나누었던 장소이다. 또한 죽었던 라자로를 다시 살렸던 곳이기도 하고 나병 환자 시몬의 집에서 음식을 나눌 때 한 여자가 그에게 .. 2015. 6. 29. [요르단] 왕의대로에 있는 길하레셋, 아로엘 = 카락성 이스라엘이 에돔과 모압의 국경이 되는 세렛 시내를 건넘으로써 실질적으로 광야 40년의 방랑에 종지부를 찍게 되었다. 이제부터는 가나안 입주를 위해 요르단 고원지대로 난 소위 ‘왕의 대로’(The King’s Highway)를 따라 북진해갔다. 이 ‘왕의 대로’는 ‘바닷길’(Via Maris)과 함께 민수기 20장 17절에도 언급되는 성서시대의 가장 중요한 2 개의 고속도로 중 하나이다. 이 ‘왕의 대로’변에는 고원지대에 있는 중요한 성읍들이 자리잡았다. 나는 이스라엘이 가나안으로 가기 위해 지나간 ‘왕의 대로’변의 성읍들을 찾아가기 위해 먼저 동쪽으로 난 쉬운 사막길을 향해 남쪽으로 내려갔다가 다시 ‘왕의 대로’를 따라 올라오기로 했다. 요르단은 렌터카 이용도 가능하지만 택시도 하루에 100달러 정도면 .. 2015. 6. 29. [요르단] 우리아 장군이 죽은 랍바성 = 암몬성 “요압이 암몬 자손의 왕성 랍바를 쳐서 취하게 되매 사자를 다윗에게 보내어 가로되 내가 랍바 곧 물들의 성을 쳐서 취하게 되었으니”(삼하12:26∼27) 고대 암몬의 수도인 랍바(Rabbah)는 오늘날 요르단 수도인 암만이다. 요단강에서는 동쪽으로 약35㎞ 지점의 요르단 고원지대에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고대 랍바성은 오늘날 암만 중심지에서 약간 벗어난 산 언덕에 위치에 있다. 시내 중심가에 있는 버스터미널 근처의 호텔에 묵고 있던 나는 고대 랍바성을 가기 위해 비교적 시간을 여유있게 갖고 출발했다. 왜냐하면 이곳은 암만 시내에 있고 오전 9시에 문을 열기 때문에 일찍 서두를 필요가 없었다. 숙소를 출발한지 20여분만에 랍바성에 도착했다. 랍바는 왕성과 물들의 성(삼하12:26∼27)으로 불리며 완전한.. 2015. 6. 29. [요르단] 느보산 모세기념교회 구약성서에 따르면,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을 이끌고 이집트를 탈출한 지 40년 만에 이 산에 당도하여 가나안 땅을 바라본 다음 거기서 120세로 죽었다(민수 27:12~14, 신명 32:48~52, 34:1~8)고 한다. 이 산은 3개의 중요한 봉우리로 이루어졌는데, 가장 높은 봉우리가 니바(Ras al-Niba)로 높이 835m이고, 두 번째 높은 봉우리는 높이 790m 무카야트(Khirbetel-Mukhayyat), 세 번째로 높은 봉우리는 높이 710m의 시야가(Ras Siyagha)이다. 모세가 가나안 땅을 바라보았다는 비스가 봉우리는 이 산의 세 번째 봉우리인 시야가라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 실제로 시야가는 가나안 땅을 바라보기에 가장 전망이 좋은 곳이다. 사해(死海)와 그 서북면에 위치한 초기.. 2015. 6. 29. [요르단] 와디무사 (=므리바) 2015. 6. 29. 중동여행에서 사용하는 버스 2015. 6. 26. 중동여행에서의 현지음식 2015. 6. 26. [그리스] 데살로니카 테살로니카(Thessalonica)라고도 한다. BC 315년 마케도니아의 왕 카산도로스가 건설하였고, 그의 왕비인 데살로니카의 이름을 따서 시의 이름을 지었다. BC 146년 이후 로마 시대에는 속령(屬領) 마케도니아의 제일 큰 도시로 번영하였다. 양항(良港)인 동시에 바르다르강과 모라바강에 의해 도나우강과 연결된다. 유럽 내륙의 출구에 해당하며 아드리아해(海)와 비잔틴을 연결하는 에그나티아 가도(街道) 중간에 있는 교통상 중요한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번영하였다. 1세기에 사도 바울로가 이곳에 교회를 세웠으며 305년 갈레리우스 황제가 페르시아를 정복한 것을 기리기 위해 개선문을 건설하였는데 오늘날까지도 남아 있다. 동로마 시대에도 콘스탄티노폴리스 다음 가는 도시로 번영하였고, 수많은 교회가 세워졌다... 2015. 6. 26. [그리스] 델피 그리스 델피 신전 2015. 6. 26. [그리스] 루디아교회 그리스 북부 빌립보지역 루디아기념교회 문밖강가 가이드 : 이순자 집사님 뜻 : 생산 루디아 성읍 출신으로 자주 장사를 하던 여자로서 바울이 빌립보에서 전도할 때 믿게된 사람이다(행 16:14). 루디아는 실상 그 출신지를 말하는 것이고 원 이름은 유오디아가 아니면 순두게였다 고 말하는 학자도 있다(빌 4:1). 2015. 6. 26. [그리스] 메테오라 수도원 [Meteora] 아덴에서 336km 북쪽, 데살로니가에서 235km 남쪽, 그리스 중부지방에 위치한 메떼오라는 11세기 그리스 정교 수도원과 은둔자 기도처로 사용되었던 동굴들이 있는 지역입니다. 약 5km 떨어진 깔람바까 마을은 터키어 깔렘박(좋은 망대)에서 유래된 지명입니다. 마을보다 400m 정도 높은 수도원에서 내려다보면 압도적인 느낌을 받는 절경이고, 반대로 마을에서 언덕으로 올라가면서 올려다보는 수도원들도 벅찬 감동을 느끼게 합니다. 시내산 수도원과 모세산 정상으로 이르는 3,000계단과 마찬가지로, 수직에 가까운 언덕에 수도사들이 기도하면서 돌 하나하나를 날라서 건축한 수도원입니다. 교파를 떠나서 하나님 앞에서의 자세를 다시 묵상하게 하는 성지입니다. 메갈로 메떼오라 수도원 순례가 허락되는 6개의 수도원 중 .. 2015. 6. 26.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 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