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Safety Story/20236

2023년 4분기 정기안전보건교육-6H 요점정리 1차시 산업안전보건법 - 법체계와 안전보건 산업안전보건 업무를 주관하는 정부부처 - 산업안전보건 업무는 고용노동부 소관이다. 산업재해 예방에 관한 조치에 따르는 것은 근로자의 의무 사항이다 산업재해발생 보고는 사업주의 법률상 책임 사항이다. 산업재해 중 중대재해 - 사망자 1인이 발생한 재해 - 3개월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부상자가 동시에 2명 이상 발생한 재해 -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10명 이상 발생한 재해 산업재해 기록보존 사항 - 사업장 개요 및 근로자 인적사항 - 재해발생 원인 및 과정 - 재해재발방지 계획 2차시 산업안전보건법 - 교육규정과 위험성평가 안전보건교육 규정상 사무직 및 판매업무 근로자가 받아야 하는 정기교육 시간은 매분기 3시간 이상이다. 근로자 안전보건교육의 교육구.. 2023. 10. 9.
2023년 3분기 정기안전보건교육-6H 요점정리 1차시 직장 내 괴롭힘의 이해와 예방 ¡ 직장 내 괴롭힘 성립조건 - 업무상 적정범위 - 문제의 행위가 업무관련성이 있는 상황에서 발생한 것 - 직접적인 업무 수행 중에 발생되지 않아도 업무수행을 빙자하여 발생한 경우 업무관련성으로 인정 - 업무관련성이 인정되더라도 그 행위 양태가 사회 통념상 문제가 된다면 직장 내 괴롭힘으로 인정 ¡ 직장 내 괴롭힘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 생산성 감소 및 손실비용이 발생한다. - 사회적 기업 이미지가 하락된다. -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조직 차원의 전략적 대응은 개인과 조직 모두에 영향을 끼친다. ¡ 직장 내 괴롭힘 예방하기 위한 사업주의 역할 - 예방 및 대응 프로그램 수립 및 지침을 마련한다. - 위험 요인에 대해 주기적으로 점검 및 관리한다. - 직장 내 괴롭.. 2023. 8. 6.
2023년 2분기 정기안전보건교육 요점정리 1차시 산업재해보상보험-제도와 적용 산업재해보상보험 - 근로자의 업무상 재해를 신속하고 공정하게 보상하고 재해근로자의 재활 및 사 회 복귀를 촉진하기 위한 보험제도 근로자가 사업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재해보상 - 요양보상 - 휴업보상 - 장해보상 - 유족보상 산업재해보상보험 - 무과실책임을 기준으로 보험급여를 지급한다. - 산업재해보상법에 따른 보험급여 수령 후에도 민사상 손해배상청구가 가능하다. - 근로자가 산업재해보상보험 급여를 받은 경우 보험가입자는 동일한 사유에 대해 근로기준법상 재해보상 책임이 면제된다. 사고로 인한 업무상 재해 - 근로자가 근로계약에 따른 업무나 그에 따르는 행위를 하던 중 발생한 사고 - 사업주가 주관하거나 사업주의 지시에 따라 참여한 행사나 행사준비 중 발생한 사고 - 휴게.. 2023. 5. 21.
작업장 정리정돈과 사고예방 1. 정리 정돈의 이해 ➢ 5S란? ▪ 정리, 정돈, 청소, 청결, 습관화를 뜻하는 것 ▪ 현장의 낭비와 무질서를 제거하고, 눈으로 보는 관리의 생활화로 우리가 일하는 현장을 안전하고, 깨끗하며, 일하기 쉽고, 편하게 만드는 활동 ▪ 정리(Seiri), 정돈(Seidon), 청소(Seiso), 청결(Seiketsu), 습관화(Shitsuke) ➢ 정리정돈 ▪ 정리는 필요한 것과 불필요한 것을 구분하여 불필요한 것을 버리는 것 ▪ 정돈은 필요할 때에 필요한 것을 필요한 양 만큼 누구나 집을 수 있게 바르게 놓고, 레이아웃을 정하는 것 ➢ 정돈순서 ▪ 불필요한 물건 제거(정리단계) ▪ 필요한 물건의 적정보관 수량을 정함 ▪ 보관장소를 정비 ▪ 보관장소에 표시 ▪ 놓는 물건 자체에 표시 ▪ 꺼내기 쉽게 “놓는.. 2023. 3. 4.
유해·위험화학물질과 작업안전 1. 유해 위험화학물질 안전 ➢ 사업장에 취급하고 있는 화학물질의 목록 정리 ➢ 목록에 있는 화학물질별로 MSDS 비치 또는 게시 확인 ➢ 목록에 있는 화학물질별 용기 및 포장에 경고표시 부착 확인 ➢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작업공정별로 관리요령 게시 ➢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근로자 대상 교육 시행 ➢ MSDS의 정의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 Meterial Safety Data Sheets) ▪ 화학물질 설명 자료 ➢ MSDS의 역할 ▪ 근로자의 알 권리(Worker’s Right-to-Know)를 보장 ▪ 사업주 :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화학물질 관리 ▪ 근로자 : 직업병, 사고로부터 스스로 보호 2.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 MSDS 구성 ▪ 1. 화학제품과 회사에 관한 정보 ▪ 2. 유해성,.. 2023. 3. 4.
감정 노동의 이해 1. 감정 노동의 이해 ➢ 감정노동의 정의 ▪ 항공사, 패스트푸드점, 호텔, 편의점, 병원 등 여러 서비스 산업에서 주로 발견할 수 있음 ▪ 공적 삶의 영역인 근로자와 고객 간의 상호관계 속에서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근로자가 자신의 감정표현을 억제하는 행위 ▪ 한국안전보건공단의 정의 - 직업상 고객을 대할 때 자신의 감정이 좋거나, 슬프거나, 화나는 상황이 있더라도 사업장(회사)에서 요구하는 감정과 표현을 고객에게 보여주는 등 고객응대업무를 하는 노동 ➢ 감정노동 강도 결정 요인 ▪ 감정표현의 빈도 ▪ 표현규범에 대한 주의성 ▪ 감정의 다양성 ▪ 감정적 부조화 ➢ 감정노동을 하는 주요 직종 ▪ 관리자 ▪ 사무 종사자 ▪ 서비스 종사자 ▪ 판매 종사자 ▪ 단순노무 종사자 2. 감정 노동의 진단과 관리 .. 2023.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