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목보호관리 2-2. 토양 개선
1. 일위대가 1. 토양 개량 재료 소운반, 기존 토양과의 희석, 배합, 되메우기, 다짐 및 현장 정리의 품을 포함하며, 토양 환경 및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에 따라 토양 개량제를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유공관 설치 파이프 절단, 투수공 뚫기, 위치 선정, 고정 설치, 현장 정리의 품을 포함하며, 150㎜ PVC 파이프 0.5m를 설치하는 것을 기준으로 파이프의 직경, 길이에 따라 재료량을 추가 또는 감소 계상할 수 있다. 2. 토양 개량(2014년 한국토지주택공사 전문 시방서 81050-2) 1. 토양의 물리성 개량 (1) 불량토의 제거, 양질토양의 객토 및 혼입을 하며, 필요시 토양 개량제를 사용할 수 있다. (2) 물리적 개량으로서 객토법이 시행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마사토를 많이 사용하며,..
2021. 3. 20.
수목보호관리 2-1. 토양 상태 점검
1. 수목 생장에 영향을 주는 토양 인자 식물(수목) 생장과 관계가 깊은 토양 인자로 토성, 토양 구조, 토양 산도(pH) 지하수 지온, 무기물과 부식 등이 있으며 아래의 물리성, 화학성, 생물적 인자로 구분하여 참고 도서를 참고하여 기초지식을 학습한다. 1. 물리성 인자 지형, 모재(지질), 토심, 토성, 토양 구조, 토양 경도, 토양 3상(고상, 기상, 액상의 비율), 토양가비중(토양 양료를 보관하는 능력) 등 2. 화학성 인자 토양 산도(pH), 토양 양료, 양이온 치환용량(CEC)과 전기 전도도(EC) 등 3. 생물적 인자 토중 동물, 미생물, 균근 등 2. 시료 채취 및 토양 분석 전문기관 토양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할 수 있는 기관을 선정한다. 대학, 기업 부설 연구소, 농업 기 술 센터, 환경..
2021. 3. 20.
수목보호관리 1-1. 수목의 피해 유형과 진단
1. 기상적 재해와 공해에 의한 피해의 특징 1. 피해의 특징 (1) 기상적 재해와 공해에 의한 피해의 차이점 기상적 피해는 주로 천재지변, 기상 이변, 미기후 등에 영향을 받으며 공해에 의한 피 해는 주로 토양, 위치 등과 같은 주변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2) 기상적 재해와 공해에 의한 피해의 공통점 - 비전염성 병해와 같이 수종에 구분 없이 피해 장소에서 자라는 거의 모든 나무에서 동일한 증상이 나타난다. - 일부 피해는 수목의 수세와 수관의 방위, 위치, 수고에 따라서 피해 유형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2. 피해가 나타나는 속도 (1) 급성 병징 과습, 불규칙한 기상 상태, 급성 대기 오염에 의한 피해는 병징이 빠른 속도로 나타난다. (2) 만성 병징 바닷물, 조풍, 염분 피해, 비료..
2021. 3.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