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보호/환경장애피해17 환경장애피해 2-1. 분류학적 수종식별 학명 1. 속명 식물의 일반적 종류를 의미하는 것으로 속명은 항상 대문자로 시작한다. 2. 종명 한 속의 각각의 개체를 서로 구분할 수 있게 하는 수식적 용어이며, 일반적으로 서술적 형용사를 쓰고 때로는 인명에서 또는 다른 속명에서 따온다. 또 지명, 또는 국명이 종명으로 쓰일 때도 있다. 3. 린네분류 수목만이 아니라 동물과 식물의 분류를 총 7개의 단계로 나누고 있다. 종-속-과-목-강-문-계 수행 내용 / 분류학적 수종식별하기 학술적 분류 식물을 분류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학문적인 분류이다. 일반 학교에서는 린네분류법에 의한 분류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린네분류법은 종-속-과-목-강-문-계의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수술의 성질에 따라 강, 암술의 성질에 따라 목으로 분류했다... 2023. 5. 7. 환경장애피해 1-4. 조사장비 활용 수목의 잎에서 나타나는 피해는 잎의 크기나 엽색, 잎의 병징 또는 식흔 등으로 피해를 진단할 수 있다. 이런 피해를 진단하기 위해서 측정장비를 활용하면 좋다. (1) GPS 조사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GPS수신기(GPS Receiver)를 사용하는데 오차는 10m 내외이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어 있으므로 간단한 사항은 스마트폰의 구글 맵을 활용할 수 있다. (2) 나침반(방위계) 나침반은 방향표시에서 화살표 방향이 북쪽을 가리킨다. 측정시 수평을 유지한 채 사용해야 정확도가 높아진다. (3) 썬토콤파스 수목 주변 경사, 배수, 토양유실, 석축 등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부분은 썬토콤파스 등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경사도를 측정할 때 유용하다. 수고를 측정할 때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2023. 5. 5. 환경장애피해 1-3. 기상자료 조사 수목이 생육하는 동안 기상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바람에 의해 부러지고, 눈에 가지가 꺾이고, 추위에 동해를 받는 등의 피해를 받는다. 이런 자료는 기상청에 공지되어 있는 자료를 찾아 확인한다. 비나 눈은 온 다음 바로 피해가 나타나기 때문에 특별한 자료조사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지만, 기온, 강수량 등은 수목의 생육과 직접적인 영향이 있으므로 조사 후 분석할 필요성이 있다. (1) 강수량 강수량은 많이 왔을 때보다는 적게 왔을 때 수목에 피해가 나타난다. 따라서 특정시기 적산강수량을 조사한다. 이런 조사는 최근 3-5년치를 같이 하는데 그 이유는 특별히 비가 많이 오거나 적게 온 것에 대한 비교를 위한 것이다. (2) 기온 기온의 경우 여름철에는 최고기온 및 최고기온 근접 일수를, 겨울철에는 최저기온.. 2023. 5. 1. 환경장애피해 1-2. 토양환경 조사 토성 토양의 무기성분을 입자의 지름에 따라 모래, 가는 모래(silt), 점토의 3군으로 구분하고, 각 군의 함유비율에 따라 토양을 분류한 것을 말한다. (1) 토성의 종류 미농무성 분류 방법으로 2mm 이하 입자를 구분하면 모래는 2.0~0.05mm, 가는 모래(실트)는 0.05~0.002mm, 점토는 < 0.002mm이고, 국제토양학회법에 의하면 모래는 2.0~0.02mm, 실트는 0.02~0.002mm, 점토는 < 0.002mm 크기의 무기광물 입자를 가리킨다. (2) 토양 경도 토양의 경도는 토양경도계를 이용해 측정하는데 토양경도계의 기준이 mm인 경우와 kg/cm2인 경우가 있어 측정시 어떤 기준을 활용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한다. (3) 토양분석 토양의 간단한 상태는 육안이나 간이 측정장비를 활.. 2023. 4. 30. 환경장애피해 1-1. 입지환경 조사 입지환경 지형조사 수목이 생육하는 공간은 위치의 변화가 없다. 단지 지형이 변화할 뿐이다. 지형 변화는 현장 답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지형 변화의 양상을 좀 더 상세히 알고 싶을 때는 인근 주민과의 면담을 통해 파악할 수 있다. 최근에 이루어진 지형변화는 육안으로 알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난 지형변화는 외부인이 보았을 때 쉽게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현지인의 도움을 최대한 받도록 한다. (1) 복토(흙덮음) 수목 주변에 흙을 덮는 행위를 복토라 한다. 복토는 경사지에서 생육하고 있는 수목 주변의 평탄화 작업 또는 레벨 평준화를 위한 과정에서 주로 이루어진다. 또는 주변의 건물 등과 높이를 맞추기 위해 복토를 한다. 더불어 토양 유실이 잦은 지역에서 노출된 뿌리를 보호하려는 의도에서 시행되.. 2023. 4. 2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