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rgo Story/About Ergo Story

코로나가 앗아간 30년 경력, 하루아침에 무용지물이 되었을 때

by Daniel & Ergo 2025. 10. 14.

코로나가 앗아간 30년 경력, 하루아침에 무용지물이 되었을 때

2020년, 세상이 멈춘 날

"전 세계 항공편 운항 중단"

2020년 초, 뉴스에서 쏟아지는 이 헤드라인을 보면서도 저는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1991년부터 30년간 여행업에 몸담아온 제게, 사람들이 여행을 멈춘다는 건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었으니까요.

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은 제 상상을 초월했습니다. 여행업은 그야말로 정지되다시피 했고, 30년간 쌓아온 경력과 노하우는 하루아침에 무용지물이 되어버렸습니다.

전 세계 항공편 운항 중단


55세, 다시 시작해야 한다면?

2021년, 저는 55세였습니다.

"이 나이에 뭘 할 수 있을까?"
"30년 경력이 아무 소용없는 분야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을까?"
"젊은 사람들도 취업하기 힘든데..."

수없이 많은 밤을 이런 생각으로 지새웠습니다. 하지만 포기할 수는 없었습니다. 아직 일해야 할 시간이 남아있었으니까요.
그렇게 고민하던 중, 문득 떠오른 것이 있었습니다. "그래, 조경을 배워보자."

조경기능사, 그리고 새로운 출발

55세에 시작한 조경기능사 공부는 쉽지 않았습니다. 식물 이름 외우기, 작업 기능 익히기... 모든 게 낯설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것을 배운다는 즐거움이 있었습니다.

자격증을 취득하고, 2022년 2월, 저는 병원의 조경관리자로 새 출발을 하게 되었습니다. 56세의 늦깎이 조경인의 탄생이었죠.

56세의 늦깎이 조경인의 탄생


현장에서 마주한 현실 - "이론과 실무는 다르다"

처음 조경 현장에 나갔을 때, 저는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첫 번째 충격: 허리가 아프다

화분을 나르고, 20kg 비료포대를 옮기고, 쪼그려 앉아 풀을 뽑는 작업... 일주일도 안 되어 허리와 무릎이 비명을 질렀습니다. "이게 근골격계 질환이구나..." 이론으로만 알던 단어가 내 몸의 통증이 되었습니다.

두 번째 충격: 도구가 무섭다

예초기의 회전날, 전지가위의 날카로운 날, 전정톱... 자격증 공부할 때는 그저 도구 이름을 외우기만 했는데, 실제로 사용하려니 모든 게 위험해 보였습니다. 주변 동료들의 작은 부상 사고들도 심심치 않게 일어났습니다.

세 번째 충격: 보이지 않던 것들이 보이기 시작했다

병원에서 일하다 보니 조경뿐만 아니라 다른 직군의 어려움도 보이기 시작했습니다.

* 매일 걸레질하며 허리와 어깨를 혹사하는 청소 인력
* 환자를 들어올리고, 주사바늘에 찔릴 위험에 노출된 간호사
* 높은 곳 청소나 시설 보수 작업을 하는 시설관리 직원

모두 자신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받으면서 일하고 있었습니다.

모두 자신의 안전과 건강을 위협받으면서 일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선택한 길 - 안전보건 전문가

"내 몸이 아프니까, 동료들의 위험이 보이니까..."

저는 결심했습니다. 단순히 조경 일만 하는 게 아니라, 안전하게 일하는 방법을 제대로 배워보자고요.

그렇게 시작한 것이:

📚 취득한 자격증 (2022-2025)

조경/농업 분야:

✅ 조경기능사
✅ 식물보호산업기사
✅ 유기농업기능사
✅ 도시농업관리사

안전보건 분야:

✅ 인간공학기사 (허리 통증에서 시작된 공부)
✅ 건설안전기사 (조경 작업의 안전)
✅ 산업안전기사 (종합적인 안전관리)

현재 진행 중:

📖 경기도 시민정원사 과정

취득한 자격증 (2022-2025)


4년에 7개 자격증. 누가 보면 "미친 짓"이라고 할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저에게는 새로운 전문성을 만들어가는 과정이었습니다.

자격증 7개를 가지고 있지만, 저는 여전히 실무 초보입니다.

* 위험성평가표? 시험에는 나왔지만 실제로 어떻게 작성하는지 막막했습니다.
* 안전교육? PPT를 어떻게 만들어야 할지 감이 안 잡혔습니다.
* 현장 안전점검? 체크리스트는 있는데 실제로 뭘 봐야 할지 몰랐습니다.

시험 공부할 때는 이론을 달달 외웠지만, 막상 현장에서 적용하려니 완전히 다른 이야기였습니다.

"분명 공부했던 건데, 실제로는 어떻게 하지?"
"이게 맞나? 틀리면 어떡하지?"

이런 고민을 수없이 했습니다.

그래서 이 블로그를 시작합니다.

이 블로그는 저처럼 자격증은 있지만 실무는 처음인 분들을 위한 공간입니다.

🎯 이 블로그에서 다룰 내용:

1. 현장 직종별 실무 안전 (병원 현장 경험 기반)

* 조경 작업자를 위한 안전 가이드
* 청소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 예방
* 간호사/의료 종사자 안전관리
* 시설관리 안전 실무

2. 인간공학 실전 적용

* 허리 아프지 않게 일하는 법
* 작업 자세 개선 방법
* RULA/REBA 평가 쉽게 이해하기

3. 안전보건 실무 문서 작성

* 위험성평가표 실제 작성법
* 안전교육 자료 만들기
* 체크리스트 활용법

4. 법규를 현장에 적용하기

* 산업안전보건법 쉽게 이해하기
* 중대재해처벌법 대응 실무
* 실제 사례로 배우는 법 적용

5. 초보자가 자주 하는 실수와 해결법

* "나도 이렇게 헤맸다" 솔직한 경험담
* 시행착오를 줄이는 팁

이 블로그에서 다룰 내용


함께 배우고 성장하겠습니다

저는 전문가가 아닙니다. 여전히 배우는 중입니다.

* 이론과 실무 사이의 괴리감
* "이게 맞나?" 하는 불안함
* 실수할까 봐 두려운 마음

이 블로그를 통해 제가 현장에서 부딪히며 배운 것들을 나누고 싶습니다. "자격증 시험에는 나왔지만, 실제로는 이렇게 하더라"
"이론으로는 알았지만, 실무에서는 이렇게 적용하더라"

이런 생생한 경험들을 공유하겠습니다.


다음 편 예고

다음 글에서는 **"조경 작업 처음 시작하는 초보자를 위한 안전 기본기 10가지"**를 다룰 예정입니다.

* 예초기 처음 잡을 때 꼭 알아야 할 것
* 화분 나를 때 허리 안 아프게 하는 법
* 사다리 안전하게 세우는 법
* 약품 다룰 때 주의사항

등등 저처럼 처음 조경 현장에 나가는 분들을 위한 실전 가이드입니다.


마치며

여행업 30년, 조경관리 3년, 그리고 안전보건 전문가로 첫걸음을 뗄 찰나 입니다. 

이 블로그가 저처럼 실무가 처음인 안전보건관리자들에게, 그리고 현장에서 안전하게 일하고 싶은 모든 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함께 배우고, 함께 안전한 현장을 만들어갑시다.


📬 소통해요

궁금한 점이나 다뤘으면 하는 주제가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현장 경험도 함께 나눠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